취임식도 ‘박근혜 스타일’… 中企 우선·국민 대통합 당선인 국정 철학 반영
입력 2013-01-20 18:59
다음달 25일 치러지는 제18대 대통령 취임식은 준비 단계에서부터 박근혜 당선인의 ‘중소기업 우선’과 ‘국민 대통합’이라는 국정 철학을 반영했다. 취임식 기획사 선정 과정에서 대기업을 원천 배제한 데 이어 초청 인원의 절반인 3만명을 인터넷 신청 등을 통해 일반 국민 중에서 뽑기로 했다.
김진선 대통령취임준비위원장은 20일 서울 삼청동 인수위 기자실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이번 취임식은 기획사 선정 때 대기업을 참여시킨 과거의 관행을 깨고 박 당선인 뜻에 따라 중소기업인 연하나로 커뮤니케이션즈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새 정부 국정철학을 취임식부터 담겠다는 박 당선인의 강력한 의지가 담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대기업을 처음부터 배제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처음부터 매출액 300억원 이하 중소기업만 대상으로 했고 중견기업도 뺐다”고 답했다. 취임준비위 측은 중소기업청이 발행한 자료를 토대로 취임준비위원이 포함된 심사위원회를 구성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업체를 선정했다. 2008년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은 제일기획, 2003년 노무현 대통령 취임식은 LG애드가 기획사를 맡는 등 그간 대기업 계열사가 대통령 취임식을 담당해왔다.
박 당선인 측은 “취임식 같은 대형 행사의 경우 대기업 계열사 광고대행사가 기획사를 맡은 후 다시 중소기업에 외주 용역을 줬지만 박 당선인이 ‘그렇다면 그냥 중소기획사에 바로 맡기는 게 낫지 않겠냐’는 주문을 했다”고 밝혔다.
또 국민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초청 대상 6만명 중 3만명을 국민 신청으로 선정한다. 21일부터 인수위 인터넷 홈페이지나 우편을 통해 신청을 받는다. 2003년 노 대통령 취임식부터 인터넷을 통한 일반 국민의 신청이 이뤄져 1만여명이 참석했고, 2008년 이 대통령 취임식 때는 2만5000명의 국민이 같이했다.
이번 취임식에는 외국 전·현직 정상을 대거 초청하기보다는 주한 외교 사절을 해당국 대표로 공식 초청할 방침이다. 김 위원장은 “주한 외교 사절을 정부 대표로 하고, 경축 사절 파견 요청 국가는 개별적으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취임사는 취임준비위에서 맡지 않고 박 당선인 측에서 직접 챙길 예정이다. 취임식 행사 총감독인 윤호진 홍익대 공연예술대학원장은 최근 방송에서 “기존 취임식 형태를 바꿔보고 싶은 생각이 있다”며 관련 구상을 밝히기도 했다. 취임준비위는 이날 실무추진단장에 최상화 새누리당 직능국장을 임명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