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맨 제도 ‘조세 피난처’ 오명 벗나

입력 2013-01-18 19:38

조세피난처로 유명한 영국령 케이맨 제도가 오명을 벗게 될까. 파이낸셜타임스(FT)는 케이맨제도 통화청(CIMA)이 이 지역에 본사를 갖고 있는 기업과 헤지펀드 수천 곳의 명단을 공개하기 위한 대규모 정밀조사를 벌이기로 했다고 18일 보도했다.

CIMA는 이 지역에 입주한 기업과 헤지펀드의 명단과 책임자를 파악한 뒤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앞으로 케이맨 제도에 들어오려는 기업이나 헤지펀드 책임자들도 정식 등록 절차를 거친 뒤 펀드 운용 허가를 받아야 한다. 헤드헌팅사 ‘카르네’ 대표 로이신 케이터는 “이제까지는 사람들이 세계 어느 나라에 있든 케이맨 제도 펀드 운용 책임자가 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CIMA는 케이맨 제도의 헤지펀드들에 제안서를 보내고 3월까지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FT는 전했다.

이번 조치는 투자자들 사이에 헤지펀드 운용의 투명성 제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진 데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조세회피에 대한 비난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영국 의회는 지난달 국내에서 막대한 이익을 벌어들이고도 케이맨 제도나 버뮤다, 버진아일랜드에 본사를 둬 조세회피를 일삼는 다국적 기업들의 탈세행위를 강력 단속하기로 의결한 바 있다. 비슷한 시기 세계 최대 검색기업 구글이 98억 달러를 버뮤다로 보낸 사실이 알려지면서 물의를 빚기도 했다.

주민 5만6000여명이 사는 케이맨 제도엔 1500여개의 금융·자산운용 회사를 비롯, 9만여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다. 대부분 직원을 두지 않는 ‘페이퍼 컴퍼니’다.

양진영 기자 hans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