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정책 이관하더라도 교섭은 외교부서 운영을” 김성환 장관 인수위 방문 입장 밝혀

입력 2013-01-18 19:29


김성환(사진) 외교통상부 장관이 18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방문해 통상 기능의 산업통상자원부 이관에 대한 외교부 입장을 전달했다. 전날 안호영 1차관에 이어 김 장관까지 인수위를 찾은 것은 그만큼 외교부가 이 사안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이후 장차관이 인수위를 방문한 부처는 외교부뿐이다.

김 장관은 인수위 관계자를 만나 통상교섭본부 업무 중 실물경제와 관련된 정책 부문은 경제부처로 이관하되, 통상과 관련된 교섭 및 조약 체결 업무는 외교부 본연의 기능이므로 현재대로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1998년 김대중 정부에서 외무부에 통상기능을 더해 외교통상부로 바뀌기 이전의 외무부가 가지고 있던 조직 기능과 유사한 형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앞서 외교부는 조직개편 태스크포스(TF) 차원에서 이 같은 수정안을 마련하고 통상교섭본부 업무를 기능에 따라 분리하는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현재 통상교섭본부 소속 인원은 130명 정도로 대략 절반씩 정책과 통상교섭 업무를 나눠 맡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당시 해외 출장 중이던 김 장관은 당초 22일 귀국할 예정이었지만 통상 기능을 떼어낸다는 소식에 일정을 수정, 이날 오전 조기 귀국했다. 김 장관은 귀국 즉시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해 인수위에 전달할 외교부 입장을 최종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서울에 있는 각국 대사관마다 벌써부터 통상 협의를 위해 세종시로 내려갈 일을 걱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