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당선인 “공약수정론 시기상조” 속도조절 일축… 지역 선대위원장들과 오찬

입력 2013-01-18 22:12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정치권에서 제기된 공약 수정론에 시기상조란 입장을 밝히며 공약 이행 의지를 강하게 표명했다. 재정 문제를 들어 복지 공약 등의 속도조절, 우선순위 조정, 출구전략을 주문하는 새누리당과 정부의 목소리를 일축한 것이다.

박 당선인은 17일 수도권·호남·강원도 지역 선대위원장들과 가진 오찬에서 “대선 때 공약은 새 정부가 출범한 뒤 시기나 재원 등 모든 것을 결정해서 추진해야 한다”면서 “지금 (공약 수정론 같은) 그런 얘기를 할 때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 당선인은 18일 부산·울산·경남 및 충청권 선대위원장 10여명과의 오찬간담회에서도 비슷한 발언을 했다. 그는 “공약을 만들 때 저와 주변에 있는 분들이 사전에 하나하나 꼼꼼히 따져서, 무엇보다 실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준비했다”며 “국민과의 약속인 이 공약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해야지, 안 된다는 이야기가 먼저 나와서 되겠습니까”라고 강조했다.

오찬에선 반값 등록금, 보육 문제 등 복지 공약과 관련된 우려가 많았다고 한다. 한 참석자는 “공약 실현을 위해 예산 등 재정 진단을 다시 해야 한다. 공약을 중장기로 나눠 정리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건의했다. 박 당선인은 “필요한 것은 그렇게 해야 될 것”이라고 답했으나 다들 원론적 수준의 답변으로 받아들였다고 한다.

홍문표 의원은 농림축산부와 관련해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식품’이 빠지는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안전업무를 하고 농림부는 식품의 생산·가공·유통 업무를 계속해야 농업이 살 수 있다”고 제안했다. 박 당선인은 “실무진과 그런 방향으로 상의해 보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수위원들도 출입기자 환담회에서 일제히 공약 이행 의지를 재확인했다. 김용준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은 “공약을 하겠다, 안 하겠다는 것보다 그런 것을 말해서 국민을 혼란스럽게 하지 말자는 것”이라며 논란 자제를 요청했다. 진영 부위원장은 “우리가 신중하게 만든 공약인데 그걸 자꾸 바꾸자고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당선인은 신용이 곧 사회적 자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고용복지분과 안상훈 인수위원은 “(4대 중증질환 보장 등 복지 공약은) 공약을 짤 때 실행할 수 있는 것들로 했기 때문에 5년간 다 할 수 있다”고 했다. 안종범 고용복지분과 인수위원도 지방공약 105개를 제외한 201개 공약에 대해 “다 지킨다고 봐야 한다”면서도 “증세는 없다”고 단언했다.

한편 당선 한 달을 맞은 박 당선인은 통의동 집무실에서 중국 특사로 파견되는 김무성 전 중앙선대위 총괄본부장과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 특사로 가는 이인제 전 공동선대위원장을 차례로 만나 의견을 나눴다. 박 당선인은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해 변화해 나갈 수 있도록 중국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중국 지도부에 잘 설명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 당선인은 “한·중 간 긴밀한 공조와 협력관계가 북핵을 포함한 북한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