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블루오션 ‘빅 데이터’] 정용찬 정보정책硏 연구위원 “빅 데이터는 산업혁명기 석탄 같은 것”

입력 2013-01-18 18:02


“빅 데이터의 혁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선 ‘데이터’가 산업혁명기의 석탄과 같이 중요한 자원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정보정책연구원(KISDI) 정용찬(50·사진) 연구위원은 빅 데이터 시대는 민간기업의 경영활동뿐 아니라 정부를 포함한 공공부문의 혁신을 수반하는 대변화를 의미한다고 했다. 그는 “데이터의 생산, 유통, 소비 전 영역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인터넷은 자원(데이터)이 생산되는 원천”이라며 “빅 데이터의 확산이 미디어와 IT 부문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위원은 이외에도 빅 데이터 시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할 수 있는 하드웨어가 구축돼야 하고, 수학·공학적인 능력과 경제학·통계학·심리학 등 다방면에 능통한 인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은 “빅 데이터 처리 인프라 개발 및 분석, 플랫폼 구축을 위한 시스템 엔지니어와 데이터 해석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설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 위원은 이어 “정부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의 원천은 개인임에도 불구하고, 이용에 있어서는 제약이 심한 정보 불평등이 존재한다”며 “사회 공동의 자산인 데이터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가 생산하는 데이터를 우선 개방하고, 민간부문에서 생산하는 데이터의 공동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데이터의 공개(공유)를 통해 데이터 품질을 높일 수 있고 투명하고 효율적인 행정이 가능하며,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지식 창출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빅 데이터 활용 시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사생활 침해 문제는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 8월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구글이 맞춤형 광고 제작을 목적으로 애플의 전용 웹브라우저 ‘사파리’ 고객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한 것과 관련해 벌금 2250만 달러(약 253억원)를 부과했다”며 “많은 기업들이 비즈니스 전략으로 서비스 이용자들의 동의와 무관하게 각종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곳곳에 설치된 CCTV와 자동차 블랙박스에 일상이 찍히고, 스마트폰 보급의 대중화와 SNS의 활성화로 개인의 사소한 대화까지도 수집·분석되고 있는 사회에 살고 있다”며 “그에 비해 개인정보 유출 및 지적재산권 보호와 관련된 안전망은 아직 구축되지 못한 상태여서 서둘러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사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