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뺏긴 ‘멘붕’ 외교부 TF 구성 등 뒤늦게 분주
입력 2013-01-17 19:35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정부조직 개편으로 통상 기능을 빼앗기게 된 외교통상부가 뒤늦게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외교부는 17일 내부적으로 조직개편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조대식 기획조정실장이 팀장을 맡은 조직개편TF는 앞으로 통상교섭본부의 업무를 기능 및 성격별로 정리하는 한편 직원 인사문제 대책과 조직정비 방안 등을 마련하는 실무 작업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안호영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오전 서울 삼청동 인수위를 방문했다. 안 차관은 인수위 측과 통상 기능 이관의 구체적인 방안을 협의하고 이에 대한 외교부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차관은 인수위 방문 목적을 묻는 질문에 “그런 말할 처지가 아니다”라고 했다.
정부조직개편안이 발표된 지 이틀이 지났지만 외교부 내에서는 아직도 거센 후폭풍이 불고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통상교섭본부에서 근무하기를 희망하던 직원 대부분이 외교부 잔류 의사를 밝히고 있다”면서 “이미 통상교섭본부로 발령 난 과장들도 어떻게 해야 할지 혼란스러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출장 중 이 소식을 접한 김성환 장관은 관련 당국자들을 호되게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장관은 18일 조기 귀국해 긴급 간부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외교부의 통상 기능을 산업부처로 옮기는 방안은 지난해 10월 박근혜 당선인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 세미나에서 이미 제시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 당선인, 김광두 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조직 개편을 주제로 열렸던 비공개 세미나에서 수출 확대를 위한 통상 기능 이전 필요성이 거론됐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외교부가 너무 안이했던 것 같다”며 “이런 정보조차 몰랐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