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인 신분으로 뭐라고 말은 못하고… 李를 어쩌나 朴 ‘속앓이’

입력 2013-01-17 19:06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의 각종 의혹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측과 여당인 새누리당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청와대는 이 후보자에 대한 의혹 제기를 ‘흠집내기 정치공세’로 규정하고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해 시시비비를 가리면 된다는 입장이다.

후보자로 지명되고 2주가 흐른 17일까지 이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이 연일 언론에 보도되자 박 당선인 측은 사태를 주시하면서도 언급 자체를 꺼리고 있다. 박 당선인 비서실 관계자는 “이 후보자와 관련해 아는 바가 없다”고만 했다. 이 후보자를 이명박 대통령이 지명한 상황에서 박 당선인 측으로선 불필요한 오해를 사고 싶지 않은 것이다. 박선규 당선인 대변인도 전날 “청문회 과정 등 정상적인 절차 속에서 풀어가는 게 맞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후보자 지명을 놓고 박 당선인과 청와대가 조율한 사실이 알려진 터라 자칫 낙마라도 할 경우 정치적 부담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박 대변인은 지난 3일 이명박 대통령의 이 후보자 지명 직후 “당선인 측과 청와대가 같이 조율한 인선”이라 말했고,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 역시 이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이 후보자 논란이 청문회 과정을 통해 가라앉기는커녕 확산될 경우

차기 정부 국무총리를 비롯한 내각 인선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새누리당도 곤혹스럽긴 마찬가지다. 한 국회 인사청문특별위원은 “연일 의혹이 터져 나오는 상황인 데도 이 후보자가 청문회(21∼22일) 때 모든 것을 말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답답한 상황”이라고 했다. 24일로 예정된 임명동의안 처리가 어려울 수 있다는 기류도 당내에서 확산되고 있다.

반면 청문회까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다른 인사청문특별위원은 “청문회를 하기도 전에 의혹이 지나치게 부풀려진 감이 있다”며 “검증 전에 낙마부터 언급하는 것은 청문회 취지를 무시하는 행태”라고 말했다.

직접적인 당사자인 청와대도 각종 의혹은 상당 부분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 후보자는 2006년 9월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를 통과했다. 만약 의혹이 다 사실이라면 그때는 어떻게 통과했겠느냐”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관련 의혹 가운데 상당 부분은 사실과 다르다. 대선 패배 이후 어수선한 야당이 내부 결속을 위해 정치 공세에 나서고 있는 게 아닌가 한다”고 했다.

김현길 신창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