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대비 中企 근로자, 일 더하고도 임금은 52% 그쳐

입력 2013-01-16 21:29


국내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지난 5년 동안 대기업 근로자보다 더 많이 일했지만 대·중소기업 근로자 간 임금격차는 더욱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근로시간의 불균형과 임금 양극화의 확대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소비지출을 위축시켜 경제 위기 극복에 악영향을 끼치고 사회 통합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문제를 풀기 위한 해법으로 정부의 일관된 중소기업 지원책, 하도급 불공정 거래행위 근절,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복지개선 등을 제시했다.

고용노동부, 중소기업중앙회 등의 자료를 16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분기 중소 제조업(5∼299인 사업장)의 1인당 월평균 임금은 268만3170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300인 이상) 근로자 1인당 평균 임금 516만6133원의 51.94%에 불과한 수치다.

대·중소기업 근로자 간 임금 비율은 현 정부가 출범한 2008년 1분기 55.95%에서 4년6개월 만에 4.01% 포인트 떨어졌다.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이 기간 동안 21.39% 오른 반면 대기업은 30.77% 인상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소 제조업 근로자의 지난해 3분기 월평균 근로시간은 186.7시간으로 집계돼 대기업 근로자의 평균시간 176.8시간의 105.6%를 기록했다.

대·중소기업 간 근로시간 비율은 2008년 1분기 103.2%에서 2.4% 포인트 더 벌어졌다.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근무시간은 이 기간 동안 4.8시간 줄었지만 대기업은 8.8시간 감소했기 때문이다.

임금 불균형이 확대된 것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사업 분야가 다르고 이로 인해 영업이익률이 큰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대기업은 스마트폰과 자동차 분야 등에서 공격적으로 해외진출에 나서며 글로벌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도 성장세를 기록했다. 그러나 수출보다 내수에 치중하는 중소기업들은 국내 경기 침체를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2·3·4차 등 중소기업의 하도급이 내려갈수록 노동조건이 더욱 악화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중소기업 지원을 강조하면서 새 정부의 정책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퍼주기식 지원책보다 중소기업의 경영토대를 건실하게 만들 수 있는 일관된 정책을 요구했다. 또 대·중소기업 간 상생이 더욱 확대돼 열매를 함께 나누는 사회적 구조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복지지원책을 강화하면 노동자들의 소비가 늘어나 국가 경제가 활력을 되찾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