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조직 개편 이후] 총리, 경제통보다 통합형 물색… 이르면 내주 발표 전망

입력 2013-01-16 19:44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국무총리를 비롯한 내각과 청와대 비서진 인선에 집중하고 있다. 인선 속도가 빨라지리란 관측도 있지만 총리 인선은 이르면 다음주 초에나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박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는 16일 “다양한 인물군이 폭넓게 검토되고 있다는 것, 현재 진행형이라는 것 외에 확인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전날 정부조직개편안 발표를 계기로 첫 총리와 내각의 면면에 관심이 고조되면서 당선인 측 부담도 커지는 분위기다. 한 측근은 “이번주 안에 총리 발표는 없을 것”이라며 “인선을 서둘러야 할 이유가 있느냐”고 되물었다.

박 당선인이 총리에게 장관 임명제청권 등 헌법에 명시된 권한을 보장하겠다고 공약한 터라 차기 정부 총리는 내각에 권한을 갖는 동시에 책임도 지는 ‘정치적 방파제’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된다.

그래서 박 당선인이 깊이 신뢰하는 인물을 발탁하리란 관측이 나오고 있지만 주변에서는 “당선인은 자기가 아는 사람만 뽑아 쓰는 스타일이 아니다”고 말한다. 후보군이 친박계로 알려진 새누리당 의원들이나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 국가미래연구원 출신 인사들로 국한되지 않으리란 뜻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기존에 알려진 당선인의 인재풀은 부분에 불과하다”며 “후보 시절과 달리 당선인이기에 인재풀은 더 넓어졌다”고 했다.

경제부총리제가 부활되면서 상대적으로 경제 전문가 출신 총리가 나올 확률이 낮아진 것은 맞지만 이마저도 단언할 수 없다는 게 당선인 측 전언이다.

특히 정부조직법의 국회 통과 절차가 남아 있고 전망이 불투명하기 때문에 향후 인선 과정에서 이 대목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경제부총리가 확정될 경우 사회 갈등을 치유하고 내각을 통합·조정할 수 있는 인사 발탁이 예상된다.

현재 정치권에서는 연세대 정갑영 총장을 비롯해 진념 전 경제부총리, 조무제 전 대법관, 전날 전격 사퇴한 김능환 중앙선관위원장,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 목영준 전 헌법재판관 등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세종시로 총리실이 이동하는 만큼 충청권 출신 인사 발탁 가능성도 조심스레 언급하고 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