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생명나눔-인체 조직 기증] 종합병원 57곳 등 모두 60곳서 운영
입력 2013-01-16 21:43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조직은행 설립 허가 현황’(지난해 12월 말 기준)에 따르면 국내 인체조직은행은 서울대·서울아산병원 등 종합병원 57곳과 비영리법인 3곳 등 모두 60곳이다. 비영리법인은 (재)한국인체조직기증재단 산하 서울성모·강동경희대·분당차병원 내에 설치돼 운영되고 있다. 올 상반기에 양산 부산대병원에 1곳이 추가 설립될 예정이다. 조직 가공업체는 6곳으로 전년과 동일하고 조직 수입업체는 93곳으로 전년(78곳)보다 15곳이 늘었다. 모두 영리로 운영된다.
자체적으로 조직은행을 만들어 기증받은 국산 인체조직을 확보하고 있는 민간 종합병원들도 이들 외부 수입업체나 가공업체에서 많은 분량을 공급받는다.
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 관계자는 “스페인, 영국 등 유럽의 인체조직은행은 국가의 재정 지원과 관리를 받는 비영리 운영을 원칙으로 한다”면서 “우리나라도 장기적으론 조직은행뿐 아니라 국가가 비영리 가공처리업체까지 설립해 운영하는 등 공적관리 체계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간 의료기관과 비영리법인 조직은행 간의 보관 인체조직 정보 교류도 필요하다. 현재는 비영리법인 조직은행끼리만 통합 관리되고 있다.
비영리로 운영되는 인체조직은행에는 인체조직 기증을 독려하고 기증 절차를 진행하는 코디네이터(현재 간호사 11명)가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기증 의향이 있는 유가족을 인체조직기증재단과 연결하고 기증 접수부터 가족 동의, 시신의 조직은행 이송 등 절차를 챙겨준다. 조직 채취는 의료진이, 시신 복원은 전문 장례 지도사가 각각 맡는다. 코디네이터는 평상시 일선 병원을 관리하며 의료진에게 인체조직 기증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지원본부 신혜숙 기증국장은 “하지만 장기관리법처럼 코디네이터의 병원 의무기록 열람이 법제화돼 있지 않아 기증자 발굴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