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만㎾ 화력발전소 잡아라”… 재계, 사업권 수주 ‘삼척 대첩’
입력 2013-01-16 21:31
대기업들이 지역별 발전사업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오는 2027년까지 발전설비 용량을 최대 3000만㎾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하는 6차 전력수급계획의 화력발전 사업자로 선정되면 향후 막대한 이익을 챙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중 가장 관심을 끄는 지역은 포스코에너지, 동양파워, 동부발전삼척, 삼성물산, STX에너지 등 5개 사업자가 화력발전 사업 신청서를 낸 강원 삼척이다.
포스코에너지는 2022년까지 삼척 원덕읍 임원리 일대 230만㎡(70만평) 부지에 8조원을 투자해 4000㎿급 석탄화력발전소를 짓는 ‘청정에너지 복합단지’ 건립 계획을 내놓았다.
동양파워㈜는 280만㎡(85만평) 부지에 11조원을 들여 4000㎿급 화력발전소를 짓는 방안을 내놓았고, 동부발전삼척㈜도 14조원을 투입해 142만㎡(43만평)에 4000㎿급 석탄화력·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립 계획을 수립했다. 삼성물산과 STX에너지도 각각 투자 규모 8조원대의 2000㎿급 화력발전소 건립을 제안했다.
지식경제부는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대기업들이 로비 등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지경부는 사업자 선정을 이달 중 마무리할 계획이다. 정부가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사실상 확정한 가운데 6차 전력수급계획에 포함될 예정인 신규 발전 사업에 29개 사업자가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사업소는 40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마련한 평가 배점 항목을 보면 설비 비용(15점), 지역희망 정도(25점), 사업추진 여건(15점), 계통 여건(25점), 환경 여건(14점) 등 총 100점 만점에 지방의회 동의 점수는 10점으로 돼있다.
시 의회 동의를 얻지 못한 삼성물산과 STX에너지는 “정부가 마련한 절차에 따라 주민동의서까지 다 받았는데 시 의회가 일방적으로 동의를 거부한 것은 중대한 하자가 있다”며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장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