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2월 19일 비상총회 결정… 예장합동 어디로 가나

입력 2013-01-16 20:53


예장 합동 ‘총회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서창수 목사)가 다음달 비상총회를 열기로 결정함에 따라 교단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비대위는 15일 대전 중앙교회에서 노회장 모임을 갖고 찬성 67표, 반대 16표로 다음달 19일 비상총회를 개최키로 결정했다. 전체 노회수가 140개인 것을 감안하면 절반 가까운 노회가 비상총회 개최라는 강경한 방안을 선택한 셈이다. 총회는 16일 임원회를 개최했으나 이 문제에 대해 별다른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실행위원회에 맡겨 처리키로 했다.

현재 교단 내에는 노래주점출입 의혹, 총회 용역·가스총 동원, 급작스런 총회 파회, 총회본부의 표류 등으로 어느 때보다 교단개혁 의식이 높은 상태다. 비대위 임원들은 그러나 ‘법적 책임’과 ‘교단분열’의 부담감 때문에 극단적인 행동은 피해왔다. 지난해 11월 대규모 기도회를 개최하고도 비상총회를 강행하지 않은 것이나, 지난 3일 모임에서 임원회 일괄 사퇴의사를 밝힌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이번에 결의한 비상총회도 심리적 압박용 이상은 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비상총회의 법적 효력이 의문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준모 총회장과 황규철 총무가 이끄는 97회 총회가 정상화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정 총회장은 4개월간 임원회조차 개최하지 못할 정도로 리더십에 큰 타격을 입었다. 총회 행정과 상비부는 나름대로 운영되지만 그 밖에 특별위원회와 연합사업 등에선 삐걱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기총의 옛 다락방전도협회 가입 허용과 세계교회협의회(WCC) 총회 협력선언에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한 것도 이처럼 복잡한 내부사정 때문이다. 이대로 가면 ‘목사장로기도회’와 ‘기도한국’ 등 대규모 교단행사도 차질이 불가피해진다. 지도부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면서 일부 노회와 교회가 총회에 등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비대위 입장에서 가장 현실적인 시나리오는 오는 3∼4월 봄 노회에서 총회개혁 헌의안을 채택하고 9월 총회를 구태인사 청산과 개혁정책 수립의 ‘개혁총회’로 만드는 것이다.

개혁성향의 한 목회자는 “국내 최대의 예장 합동 교단이 개혁될 때 한국교회가 개혁된다”면서 “비상총회와 봄노회, 제98회 총회가 교단 개혁의 절호의 기회가 되도록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백상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