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 대형유통업체들 지역기여도 0.03%

입력 2013-01-15 21:23

부산·경남지역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이 연간 5조원대의 매출을 기록하면서도 사회공헌 등 지역 내 기여도는 0.03%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영주 의원이 부산시와 경남도로부터 받은 자료에서 15일 밝혀졌다. 부산·경남지역 대형마트 59곳과 SSM 188곳의 매출액은 2010년 4조6739억원, 2011년 5조3657억원, 2012년 4조8058억원으로 최근 3년간 모두 14조8454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부산지역 매출액은 이마트 금정점 820억원, 이마트 해운대점 816억원, 이마트 연제점 644억원 등 순이었고, 경남에서는 이마트 진주점 995억원, 홈플러스 김해점 940억원, 롯데마트 장유점 874억원 등 순으로 나타났다.

막대한 수익에도 불구하고 이들 업체의 최근 3년간 문화행사 후원·불우이웃 돕기·후원금·기부금 등 지역 내 공익사업투자 금액은 총 매출액의 0.03%인 49억8400만원에 불과했다. 또 지역 내 농산물 구매액도 매출액의 11.4%인 1조6922억원에 그쳤다.

특히 부산지역 롯데마트는 3년간 매출액이 1조2744억원에 달하지만 공익사업 투자액은 매출액의 0.02%인 3억1300만원이었고, 이마트는 3년간 매출액 1조2388억원 중 공익사업 투자액은 0.11%인 13억1800만원에 불과했다.

경남의 롯데마트와 롯데슈퍼도 3년간 매출액이 1조4878억원인데 비해 공익사업 투자액은 매출액의 0.004%인 5600만원에 그쳐 이익금의 지역 환원에 소극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김영주 의원은 “‘유통 공룡’이라 불리는 대형마트들은 의무휴일제 등에 반발하기 전에 지역 공익사업을 고민해야 한다”며 “동반성장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대형 유통업계의 활발한 지역투자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은 “대형 유통업체들이 매출액을 서울 본사로 보내는 시스템 속에서는 지역의 공익사업 투자가 소홀할 수밖에 없다”며 “이들 업체의 현지 법인화와 인식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