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사회적기업들 생사 기로에… 외형적으로 크게 성장했지만 대부분 만성적자에 허덕

입력 2013-01-15 19:31

광주·전남지역 상당수 사회적기업들이 존폐의 위기를 맞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해 광주·전남지역에서 고용노동부 인증을 받은 사회적기업과 광역단체가 자체 지정한 예비사회적기업 등 모두 237곳의 사회적기업이 영업활동을 벌였다고 15일 밝혔다.

광주지역 인증·예비 사회적기업은 2010년 43곳에서 2011년 72곳에 이어 지난해 130곳으로 늘었다. 고용인원도 2010년 687명에서 2011년 1218명, 지난해는 1717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하지만 대다수가 반찬·도시락·어묵 제조와 청소년학습, 문화영상 분야 등 특정 업종에 편중됐다. 거기다 ‘1인 기업’ 3곳을 포함해 종업원 10인 이하의 영세기업이 지난해 기준 전체 130곳의 절반이 훨씬 넘는 84곳이다.

전남지역 22개 시·군에서도 지난해 65곳(인증 26곳·예비 39곳)에 머물던 사회적기업이 올해 107곳(인증 29곳·예비 78곳)으로 외형상 큰 폭의 증가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전남지역 역시 해당 기업의 진출분야는 농·특산품 분야와 문화·예술교육 분야 등으로 제한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10여곳은 매출이 전혀 없고 적자 기업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인 사회적기업활성화전남네트워크가 지난해 3개월간 전남도내 사회적기업 중 연간 매출액을 집계한 26곳의 영업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38%가 만성적자에 허덕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올해부터 사회적기업의 버팀목인 정부와 지자체의 인건비 지원이 단계적으로 끊길 경우 심각한 재정난을 견디지 못해 문 닫는 곳이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남지역의 경우 2007년 이후 고용노동부 인증을 받은 사회적기업 중 이미 13곳의 인건비 지원이 중단돼 직장을 그만두는 종사자가 적잖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진에서 친환경 과자와 빵을 생산하는 ‘콩새미’의 경우 한때 직원이 56명이었으나 현재는 16명에 불과하다.

광주시 관계자는 “사회적기업이 경쟁력을 높이려면 진출분야를 다원화하고 새 수익모델을 창출하는 노력을 스스로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