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아이들 관리 전담 인력도 없다… 구청 담당 1명뿐

입력 2013-01-15 19:14

지난해 8월 개정 입양특례법 시행 이후 출생신고에 부담을 느낀 미혼모들이 아이를 유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버려진 아이를 전담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신림동에 위치한 주사랑공동체교회의 ‘베이비박스’에는 14일 새벽 3명의 아이가 버려졌다. 올 들어 5명째다. ‘베이비박스’에서 아이가 발견되면 경찰 조사를 거쳐 지자체에 신고가 접수된다. 이후 관악구청 노인청소년과 담당 직원이 교회를 방문해 아이를 서울시립 어린이병원으로 데려간다. 아이의 건강에 이상이 없으면 서울시 아동복지센터를 거쳐 보육시설로 옮겨진다. ‘베이비박스’에서부터 아이의 아동복지센터 입소까지는 관악구청이, 아동복지센터에서 보육시설 입소는 서울시가 담당한다.

한 달 평균 3명꼴로 버려지던 아이가 법 개정 후 배 이상 늘었지만 전담 구청 직원은 여전히 1명뿐이다. ‘베이비박스’ 설치는 법적 근거가 없어 관악구는 별도 예산이나 인력을 투입해야 한다. 게다가 ‘베이비박스’는 전국에서 신림동에만 설치돼 있어 다른 지역에서 태어난 아이도 신림동 ‘베이비박스’에 버려지는 경우가 많아 관악구청은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관악구청 아동복지과는 월요일만 되면 긴장감마저 흐른다. 주말을 이용해 지방에서 아이를 데려와 신림동에 버리는 미혼모가 있기 때문이다. 관악구청 관계자는 15일 “버려진 아이들이 크게 늘면서 기존 인력으로는 부족해 다른 직원이 함께 가서 아이를 데려오기도 한다”며 “아이 수만큼 직원이 나가야 하기 때문에 아이가 한꺼번에 많이 버려지면 다른 업무에 지장이 있을 정도”라고 말했다.

다른 지역에서 ‘베이비박스’ 설치를 문의하는 이들도 있지만 지역사회의 반발과 ‘아이를 유기한다’는 주위 시선 때문에 설치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경기도 안산의 한 병원은 지난해 베이비박스 설치를 검토했지만 “‘아이 처리장’이라는 오명이 우려된다”는 주민 반발 때문에 포기했다. 당장 버려지는 아이들의 안전에 대한 대책도 겉도는 셈이다.

김유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