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 처리비 업체-자치구 갈등… 성북구 7일 넘게 수거 안돼

입력 2013-01-14 22:09

서울시내 자치구와 민간업체들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 인상 여부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업체들은 올해부터 쓰레기 폐수의 해양 투기가 금지돼 처리비용이 상승했다며 비용 인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자치구들이 난색을 표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쓰레기 처리 지연사태까지 발생하고 있다.

14일 서울시와 자치구에 따르면 민간업체들은 t당 8만원 안팎이던 처리비용을 올해부터 12만7000원 가량으로 높여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나 바이오가스화하거나 약품처리 등 육상처리를 해야 해 비용이 크게 늘었다는 게 이유다.

업체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질 경우 민간업체에 처리를 위탁하고 있는 16개 자치구가 추가로 부담해야 할 금액은 연간 300억원으로 추산돼 자치구들은 반반하고 있다.

갈등이 심한 일부 자치구에서는 업체들의 쓰레기 수거 거부 및 지연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성북구에서는 업체들이 7일부터 전역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지 않고 있다. 양천구와 관악구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수거가 지연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자치구와 업계 관계자들을 14일 오후에 불러 의견을 듣고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대로 우선 임시계약을 체결해 쓰레기가 쌓이는 사태만은 막아 달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 이어 “업체마다 처리규모나 방식이 제 각각인 만큼 추후 용역의뢰 등을 통해 적정 처리비용을 산출한 후 정식 계약을 체결하도록 권고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 공공처리시설을 갖춘 송파·동대문·서대문·도봉·강동구와 이들 시설을 함께 사용하는 종로·광진·성동·은평구를 제외한 16개 구가 민간업체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탁하고 있다.

라동철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