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최대석 인수위원 사퇴 이유 밝혀라
입력 2013-01-14 18:28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최대석 외교국방통일분과위원의 갑작스러운 자진 사퇴 배경이 과연 무엇인지를 놓고 하루 종일 술렁거린 14일이었다. 전날 이뤄진 윤창중 대변인 발표는 “최 위원이 일신상의 이유로 사의를 표명했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이를 받아들였다”는 게 전부다. 사퇴 이유에 대해선 “일신상의 이유로만 이해해 달라. 더 이상 말씀드리기는 좀 어렵다”고 했다. 윤 대변인은 이튿날에도 “민주주의 국가에서 누구도 인사문제에 대해 피해를 입어선 안 된다는 나름대로의 의식 때문에 배경 설명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수위원이 중도에 사퇴한다는 것 자체가 매우 이례적이다. 그것도 임명장을 받은 지 일주일밖에 지나지 않았다. 본인이 단행한 인사는 뒤집지 않기로 유명한 박 당선인이 최 위원 사의를 수용한 점도 예사롭지 않다. 더욱이 최 위원은 2007년부터 남북관계와 관련해 박 당선인에게 자문 역할을 해온 브레인이며, 새 정부 초대 통일부 장관 물망에 올라 있던 인물이다. 이래저래 최 위원의 전격 하차에 관심이 쏠리게 돼 있는 상태다.
궁금증은 다양한 추측을 낳고 있다. 인수위 주변에서는 ‘일신상의 이유’라는 윤 대변인 발표를 근거로 최 위원 건강에 문제가 생긴 것 아니냐는 관측에서부터 최 위원 가족과 관련해 불미스러운 일이 벌어졌기 때문일 것이라는 설(說), 향후 남북관계를 어떻게 설정할지를 둘러싼 여권 내부의 온건파와 강경파 간 갈등설, 보안 사항을 언론에 누설한 데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는 설 등이 쏟아졌다. 하지만 모두 설득력은 약하다. 그래서 다른 억측들이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윤 대변인은 ‘민주주의 의식’까지 운운하며 함구했다. 국민들의 의문점을 풀어달라는데 왜 민주주의 의식을 거론하는지 의아스럽다. 김용준 인수위원장, 진영 인수위부위원장 그리고 나머지 인수위원들도 입을 굳게 다물었다. 최 위원은 휴대전화를 꺼놓은 채 잠적했다.
당사자도 문제이지만, 인수위 행태가 볼썽사납다. 무엇보다 오만하다는 인상을 준다. 심하게 말하면, 인수위가 몰라도 된다고 판단해 말 안 안하기로 결정했으면 국민들은 그대로 따라오면 된다는 식으로 비쳐진다.
가뜩이나 인수위가 지나친 비밀주의에 빠져 국민들과 소통하거나 공감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정보통제보다 진솔하게 설명하는 것이 훨씬 중요할 때가 많다. 이번 최 위원 사퇴 건이 그런 경우다. 여러 모로 국민들의 이목이 집중된 사안인 만큼 사실 그대로 밝히고, 혹시 국민들에게 양해를 구할 게 있다면 겸허하게 양해를 구하는 게 옳다. 그것이 박 당선인과 인수위를 위한 길이다. 인수위원장이 직접 밝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