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출범 일주일] 朴, 첫 내각 ‘휴일구상’… 통합 명분 구색 맞추기 안한다

입력 2013-01-13 19:11

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정부조직 개편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국무총리와 국무위원 인선 일정에 맞추기 위해서다.

인수위 핵심 관계자는 1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부조직 개편이 마무리돼야 총리와 장관들을 지명할 수 있다”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낙마하면 안 되기 때문에 앞서 우리가 검증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시간이 없어 개편 작업을 서두를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조직 개편안은 이르면 부처별 업무보고가 끝나는 다음날인 18일 발표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인사청문회 소요 기간, 새 정부 출범일 등을 고려해 20일쯤에는 총리 후보자가 발표돼야 한다는 의견을 인수위에 제시한 바 있다.

조직 개편의 기본 틀은 대선 공약이었던 미래창조과학부 신설, 해양수산부 부활의 범주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에 부(部)가 새로 생기거나 없어질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다만 세부적으로는 청와대 수석비서관실 축소 및 대통령 집무실 이전, 국무총리실 직속 중소기업위원회 설치, 국무위원 제청권을 고려한 총리실 기능 확대 등 박 당선인의 국정 철학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들이 검토되고 있다. 당선인이 직접 지적한 정부부처 간 칸막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컨트롤타워’ 설치 여부도 관심사다.

박 당선인은 주말 동안 외부 일정을 잡지 않고 인선 작업에 몰두했다. 박선규 당선인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당선인은 눈앞에 닥친 국무총리·장관 인선작업에 가장 신경을 쓰고 있고 시간을 많이 할애하고 있다”며 “여러 경로로 사람을 추천받고 다양한 경로와 방법을 통해 검증하는 일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당선인은 정부부처 업무보고 기간에는 내용을 별도로 전달받지 않고 이달 말 국정기획조정분과에서 부처별 종합보고서가 만들어진 이후에 보고받을 예정이다.

박 당선인은 차기 정부 첫 내각에 들어갈 후보에 야권 인사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능력이 최우선이라는 평가 기준에 따라 측근보다 전문가를 기용했던 인수위 인선과 같은 맥락이다. 박 당선인 측 관계자는 “통합을 명분으로 구색맞추기식 인선은 하지 않을 것이고 해당 자리에 능력이 있다면 뽑아서 쓸 것”이라며 “야당이나 과거 정권에서 일을 했더라도 능력이 있다면 다시 기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는 이날 전체회의를 갖고 취임식을 여의도 국회의사당 광장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고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이 전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