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출범 일주일] 차기 통일장관 유력후보가… ‘최대석 사퇴 미스터리’

입력 2013-01-14 00:45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국방통일분과 최대석(57) 인수위원이 인수위원직을 전격 사퇴했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13일 브리핑에서 “최 위원이 어제(12일) 일신상의 이유로 사의를 표명했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사퇴 이유에 대해선 “일신상의 이유”라고만 했다. 최 위원은 휴대전화가 꺼진 채 연락이 닿지 않았다.

그는 사의를 표명한 12일에도 대학교수나 전직 통일부 관료를 만나 의견을 구하며 의욕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다 이날 밤 김장수 외교국방통일분과 간사에게 전화를 걸어 사의를 밝혔다. 김 간사 역시 사퇴 이유는 함구로 일관해 ‘최대석 미스터리’가 증폭되고 있다.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장인 최 위원은 8년 전부터 박 당선인에게 남북관계를 자문해 왔다.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 출신으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라는 대북정책 밑그림을 그려온 핵심 측근이다. 인수위에서 통일 분야를 담당해 차기 통일부 장관으로 유력하게 거론됐다. 그러나 전공 분야인 통일부 업무보고(16일)도 받지 못한 채 인수위 출범 1주일 만에 첫 낙마 사례가 됐다.

최 위원은 박정희 전 대통령과 가까웠던 최재구 전 공화당 의원의 아들이다. 박 당선인과 2대에 걸친 인연을 갖고 있다. 또 GS그룹 허씨 일가의 사위여서 상당한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재산 관련 문제 아니냐고 추측하지만 2010년 GS그룹 주식을 상당량 장내 매도한 것 외엔 기업 활동에 특별히 개입한 적이 없다.

최 위원은 대북지원단체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본부 공동대표와 평화나눔센터 소장을 역임했다.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올 신년사를 “남북관계의 긍정적인 신호”라고 평가하는 등 유연한 대북관을 가졌다. 이 때문에 보수 진영에선 그를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기도 했다.

1991년 체결된 남북기본합의서 이행을 존중하고 김대중 정부의 6·15 남북공동선언, 노무현 정부의 10·4 공동선언을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8월 토론회에선 “6·15와 10·4는 실질적 협의 과정에서 충분히 조정할 수 있는 문제이며 원칙적으로 당연히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지난해 초 학술지 기고문에서 “현 정부의 5·24 조치는 북한을 응징하기 위한 것이지만 우리 국민과 기업의 불안과 손실은 고려하지 않았다. 국민과 차기 정부를 위해 단계적으로 해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교국방통일분과 김 간사, 윤병세 인수위원과 시각차가 있어 견제를 당한 것이란 분석부터 개인적 신변 문제가 돌출됐다는 관측까지 다양한 설(說)만이 분분한 상황이다.

김재중 김현길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