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9개 사립대 ‘선택형 수능’ 유보 촉구, 인수위에 호소키로… 교육현장 혼란
입력 2013-01-11 23:19
서울 9개 주요 사립대 입학처장들이 올해부터 적용되는 선택형 수능을 유보할 것을 촉구한 데 이어 이 같은 의견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전달키로 해 인수위의 반응이 주목된다. 현 정부의 교육과학기술부가 이들의 주장에 대해 ‘수용불가’ 방침을 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인수위를 상대로 설득전을 펼치겠다는 입장이어서 결론이 나기 전까지는 학교 현장의 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9개 사립대의 한 입학처장은 11일 “차기 정부가 들어서는 2월 말 이후에는 사실상 2014학년도 입시 일정이 시작되므로 되돌리기 어렵다”면서 “선택형 수능의 부작용을 차기 정부가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당연히 인수위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택형 수능은 대입 전형을 한층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대입 전형의 단순화를 내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과도 맞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입학처장들은 인수위가 공식적으로 선택형 수능 채택 여부를 논의할 경우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입학처장들은 직접 인수위에 의견을 제출할 경우 정치적으로 인수위를 압박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어 공론화 과정을 더 거쳐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다른 입학처장은 “사실 B형 위주로 뽑으면 우리 대학은 문제될 게 전혀 없다. 그러나 현장의 수많은 진학교사들이 어려움을 호소했고 동참한 입학처장들도 비슷한 경험이 있어 공감대가 형성됐다”면서 “앞으로 현장의 수험생·학부모·진학교사 등을 대상으로 의견을 취합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총은 이날 입학처장들의 주장에 대해 “1년도 남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 확정된 수능 방식을 유보하는 것은 더 큰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며 반대했다. 교총 관계자는 “선택형 수능 준비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교과부와 대학들은 수능 출제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는 등 대학입시정책을 조속히 내놓아야 한다”며 “근본적인 입시제도 개선안을 인수위에 제출하겠다”고 말했다.
대학가에서는 9개 사립대의 주장에 대해 공감한다는 의견과 혼란스럽다는 의견이 섞여 있다. 수도권 소재 중위권 대학의 입학 관계자는 “예고한 대로 선택형으로 가는 것이 옳은지 아니면 당초 계획을 변경해 기존 방식대로 수능을 치르는 것이 옳은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면서 “어느 쪽을 선택해도 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입시업체 관계자는 “교과부가 불가방침을 내놨지만 새 정부에서 어떻게 할지 모르는 거 아니냐.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선택형(A·B형) 수능을 유보하라는 의견을 낸 입학처장은 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소속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