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쌍용차 정상화 위해 노사·정치권 합심해야

입력 2013-01-11 18:14

3년 5개월여 동안 지속돼온 쌍용자동차 사태에 청신호가 켜졌다. 쌍용차 노사가 무급휴직자 455명 전원 복직에 합의함으로써 쌍용차 문제 해결의 단초가 마련된 것이다. 무급휴직자들은 오는 3월 1일자로 일괄 복직하며, 이로 인해 기존 근로자들의 경우 잔업 감소 등으로 수입이 일부 줄어들 것이라고 한다. 타의에 의해 직장을 떠난 동료들이 다시 일터로 돌아올 수 있도록 근로자들이 일자리 나누기 등 고통 분담에 동참한 셈이다. 사측은 흑자로 전환되지는 않았지만 매년 차량 판매 실적이 호전되고 있어 무급유직자 복직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노사의 이번 합의가 쌍용차 정상화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직 노사가 가야 할 길은 멀다. 정리해고자와 희망퇴직자 2000여명의 복직이 당면 과제다. 사측은 경영 여건이 나아지면 이들의 복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시기를 예상하기 힘든 상황이다. 2011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1000억원 이상의 적자를 냈다. 내수침체와 세계 경기불황 등 외적인 여건도 좋지 않다. 게다가 지금까지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건강 악화로 숨진 근로자가 23명이나 되는 등 후유증을 치유하는 일 역시 쉽지 않다. 그럼에도 노사가 오랜만에 손을 맞잡은 것처럼 앞으로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합심한다면 ‘일할 맛 나는 직장’으로 거듭나기가 불가능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때마침 쌍용차 모기업인 인도 마힌드라 그룹은 4∼5년 안에 쌍용차에 9500억원 정도를 투자할 것이라고 했다. 이 약속이 제대로 이행된다면 쌍용차 회생 시점이 앞당겨질 수도 있을 것이다.

여야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쌍용차 사태에 대한 국정조사를 약속했다. 하지만 노사 합의 이후 여야는 상반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새누리당은 기업 이미지 훼손과 국제 신인도 하락 가능성을 들어 국조 실시를 사실상 반대했다. 민주통합당은 쌍용차 문제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선 국조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노사는 국조가 쌍용차 정상화에 도움이 안 된다는 입장이다. 정치권이 현명하게 대처하지 못해 상처를 덧나게 만들지 않을까 우려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