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인수위 3대 과제 점검] ① 국무총리 인선… 능력을 원칙 삼아 ‘국민대통합형’ 기용 가능성

입력 2013-01-10 21:49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앞에 놓여있는 첫 시험대는 국무총리 인선이다. 핵심 관계자는 1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여러 채널을 통해 첫 총리 인선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전달받고 있는 걸로 안다”고 말했다. 당선인이 차기 총리를 어떤 콘셉트로 인선할지 고심하고 있다는 얘기다. 또 다른 관계자도 “언론에선 벌써 이런 저런 이름이 나오고 있지만 구체적인 윤곽이 잡히지 않았다”며 “후보군이 나올 때가 아니다”고 했다.

20일쯤 총리 후보를 지명할 것이란 관측에 대해 박선규 당선인 대변인은 “당선인이 그 날짜에 하겠다고 한 게 아니라 새 정부 출범일(2월 25일)을 기준으로 역산하면 그런 계산이 나오는 것으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총리에게 각료 제청권을 보장하겠다는 당선인 구상대로 하려면 선임된 총리가 인사청문회를 거치고 총리가 장관을 제청해 다시 장관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늦어도 1월 중순엔 총리 인선 윤곽이 나와야 한다는 뜻이란 설명이다.

한때 유력해보이던 ‘호남 총리’ 카드는 폐기되는 분위기다. 지역을 특정함으로써 인재풀(Pool)을 협소하게 만들 수 있고, 역대 정권에서 호남 출신 총리가 국민대통합의 효과도 내지 못했다는 판단 때문이다. 한 측근은 “능력이 안 되는데도 특정 지역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발탁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박 대변인도 “당선인은 특정 지역을 염두에 두고 인선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결과를 통해 특정 지역과 관련된 분이 자연스레 나타날 수는 있겠지만 인력 풀을 특정 지역으로 한정한다는 것은 대통합과 탕평인사 원칙에 맞지 않는 일”이라고 했다.

박 대변인은 또 “당선인의 인사 원칙은 능력 있는 사람을 지역과 계층에 관계없이 찾고 또 찾아 적재적소에서 일하게 하겠다는 것”이라며 “그런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탕평인사를 이루겠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이 때문에 민생은 당선인이 직접 챙기고 총리는 ‘국민대통합형’으로 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박 당선인이 대통령 후보 시절 “덕망과 능력이 있으면 여야를 떠나 발탁할 것”이라고 밝혔던 만큼 중도 성향의 깜짝 인사 기용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번 대선에서 진보와 보수가 유례없이 극명하게 대립했던 만큼 보수에 등을 돌렸던 48%(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 후보 지지율) 국민의 마음을 추스르며 사회갈등을 풀어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박 당선인의 ‘책임총리제’ 구상을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핵심 인사는 “박 당선인은 헌법에 보장된 총리의 권한을 최대한 보장하겠다고 했지 책임총리제란 말을 직접 쓴 적이 없다”고 했다. 총리에게 국정 현안에 대한 실질적 권한과 책임을 맡긴다는 취지의 책임총리제는 아니라는 것이다. 헌법에 사문화된 국무위원 임명제청권을 보장해 장관 인사 권한을 나눌 수 있는 총리여야 한다는 점에서 박 당선인의 국정 철학을 잘 이해하는 동시에 국민의 신망이 두터운 인사가 발탁돼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