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득 종합과세 줄이려면… 절세상품으로 갈아타고, 분산시켜라

입력 2013-01-09 18:33


8억원에 달하는 금융자산이 있는 김모(52)씨는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이 강화되자마자 황급히 은행을 찾았다. 불과 며칠 새 ‘세금 폭탄’을 맞을 위기에 놓였기 때문이다. 김씨는 은행 상담 후 2억원 가량의 자산을 상속형 즉시연금으로 옮겼다. 즉시연금이 비과세 상품인 덕에 김씨의 금융자산은 6억원 가량으로 줄었고 아슬아슬하게 과세 대상자에서 제외됐다.

금융자산만 10억원을 가진 최모(58)씨는 아예 자산 절반을 부인에게 증여키로 했다. 최씨는 최근 은행을 찾아 정기예금 5억원을 해지해 모두 부인에게 넘겼다. 만기 전에 해지해 다소 손해를 봤지만 엄청난 세금을 무는 것보다 이득이라고 판단했다. 최씨는 “함께 모은 돈인데다 재산을 나눌 경우 세금을 줄일 수 있어 증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올 해부터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이 40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바뀌자 자산가들의 움직임이 바빠졌다. 금리를 연 4%로 계산할 경우 예금 원금이 5억원만 넘어도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여차하면 종합소득세가 최대 26.4% 가량 늘어나고 건강보험료까지 추가로 내야한다.

국민일보는 KB국민·우리·신한·하나은행 PB(컨설팅을 해주는 금융 포트폴리오 전문가)들에게 금융소득 종합과세 강화 이후 재테크 방안에 대해 조사를 벌였다. PB들은 즉시연금과 같은 비과세 상품 뿐 아니라 자산 배분으로 세금을 줄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상황에선 단기 이익보단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비과세·절세 상품을 노려라”=최근 은행 PB센터에 가장 많이 쏟아지는 문의는 단연 비과세 상품이다. 즉시연금 등의 비과세 상품으로 자산을 옮겨 놓을 경우 그만큼 세금 납부 대상에서 제외돼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국민은행 부산PB센터 정성진 팀장은 “조만간 소득세법 시행령 개정이 되면 당장 즉시연금 과세여부가 정해지게 된다”며 “그 이전에 즉시연금 가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나은행 강남PB센터 김현규 팀장 또한 “새해 들어 즉시연금 막차를 타려는 사람들의 문의가 끊이지 않는다”고 전했다.

물가연동국채도 대표적 절세상품이다. 물가연동 국채는 소비자 물가가 오르는 만큼 원금이 증가하고 이에 비례해 이자가 지급된다. 물가 상승으로 증가한 원금과 이자소득에 대해선 세금을 물지 않아도 된다. 우리은행 TwoChairs강남센터 박승안 부장은 “물가연동국채는 기본적으로 국채라는 안정성이 매력적이다”며 “선진국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물가가 오를 것으로 보여 수익과 안정성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자산 배분 적극 활용하라”=증여를 통해 자산을 나눠놓는 것도 세금을 줄이는 비법이다. 실제 최근 자산가들 사이에선 부부간 증여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신한은행 역삼PB센터 유상훈 팀장은 “금융소득 종합과세가 개인별로 과세되기 때문에 부인이나 자녀에게 자산을 증여하려는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며 “금융자산 증여로 소득을 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팀장 또한 “배우자에겐 6억원, 성년인 자녀에게는 3000만원, 미성년 자녀에게는 1500만원까지 세금 없이 증여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단기 이익보다 중장기 전략 세워라”=4대 은행 PB들은 모두 공격적인 단기상품 투자를 통한 수익보다는 중·장기적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금리에 불경기인 시대여서 단기상품 매력이 떨어진다는 뜻이다. 다만 경기 부양의 가능성이 있는 만큼 중위험·중수익 자산으로 눈을 돌리라고 권유했다.

정 팀장은 “해외채권, 자산배분형 상품, 지수연계 증권(ELS) 등 중위험 상품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것이 좋다”며 “특히 이머징 국가 채권 중 현지통화표시로 발행되는 채권의 환차익을 기대해볼만 하다”고 소개했다. 김 팀장도 “새로운 비과세 상품만을 기다리기는 어렵다”며 “위험성을 다소 고려한 월지급식 ELS상품으로 상대적 고수익을 노리는 동시에 월 지급으로 과표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지난해보다는 적극적 투자 자세도 필요해 보인다. 박 부장은 “올 해에도 여러 가지 위험요소가 상존하지만 지난해보다는 상황이 좋아지는 만큼 다소 적극적인 투자를 하는 것도 좋다”고 덧붙였다.

진삼열 기자 samu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