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전쟁] 정전협정일에 맞춰 각국 참전용사 초청… 경기도, 29개 사업 추진
입력 2013-01-08 19:03
경기도가 올해 남북교류협력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특히 올해는 6·25 전쟁 정전 60주년이자 비무장지대(DMZ) 설치 60주년이어서 다양한 기념사업과 북한과의 공동사업을 계획하고 있다.(국민일보 7일자 12면 보도)
도는 기념사업과 관련해 29개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에 따라 생성된 DMZ는 과거 상처와 함께 생태·평화적 가치가 있는 곳이다. 도는 정전협정일에 맞춰 유엔과 참전국 대표, 참전용사들을 초청하는 기념행사를 준비 중이다. 국무총리실 산하 6·25 60주년사업위원회에 건의해 국비 10억원을 이미 반영한 상태다.
국제 심포지엄도 준비하고 있다. 국내외 남북전문가와 북한 인사까지 초청해 남북관계와 통일문제를 논의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장소는 DMZ와 인접한 도라산역이다.
특히 6·25 전쟁 이후 최초로 파주 임진각에서 개성공단까지 달리는 마라톤대회 개최를 북한에 제안하기로 했다. 도는 이 대회가 성사되면 세계적인 이벤트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DMZ 자원을 북한과 공동으로 조사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북한에서 이를 수용할지 여부다. 상반기 중 정부와 협의, 북측에 제안할 방침으로 지속적인 협의를 해나가겠다는 입장이다.
도는 올해 초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신년사에서 남측에 대한 비난을 삼간 채 남북대결구도 해소와 공동선언 이행 등을 강조해 더욱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한편, 경기도북부청은 올해 남북교류협력사업비로 지난해보다 7억원(11.7%) 늘린 67억원을 편성했다. 서울시의 올해 49억원보다 많다.
각 광역단체는 민간단체에 위탁하거나 지원해 남북협력사업을 벌이고 있다. 사업비는 자체 조성한 남북협력기금에서 충당한다. 기금은 서울시가 185억원을, 경기도가 144억원을 각각 보유한 상태다.
도는 지난해 남북관계가 회복되지 않아 사업비 60억원 가운데 말라리아 공동방역비로 5억원만 사용했다. 양묘장 조성, 황해북도 농업현대화, 영·유아 지원사업 등을 진행하지 못해 나머지 55억원을 올해로 넘겼다. 올해의 경우 결핵 등 의료지원사업을 추가했다.
이창수 도 남북협력담당은 “올해 새 정부가 들어서고 북한도 유화 제스처를 보내 남북협력사업이 정상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마라톤대회 등의 전담부서가 정해지는 대로 본격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김도영 기자 do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