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비대위원장 합의추대 될까

입력 2013-01-09 00:41

민주통합당이 비상대책위원장 선출을 하루 앞둔 8일에도 계파 간 갈등 양상을 되풀이했다. 당내 주류 세력인 486(40대·80년대 학번·60년대 출생) 및 일부 초·재선 의원들이 대선 때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던 3선의 박영선 의원 추대론을 제기하면서 비주류 측과 정면충돌해 순탄치 않은 선출 과정을 예고했다.

일단 민주당은 예정대로 9일 오전 국회의원·당무위원 연석회의에서 합의추대 방식으로 비대위원장을 선출키로 가닥을 잡았다.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4시간30분간 진행된 초선의원 37명이 모인 ‘미니 의원총회’ 직후 “박기춘 원내대표가 추천하면 그 뜻을 존중키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전날 박 원내대표에게 전직 원내대표들도 같은 의견을 전달했다. 이에 따라 취임 후 상임고문단, 초·재선 의원들을 잇달아 만나며 의견을 수렴해온 박 원내대표의 결단이 중요해졌다.

이런 가운데 당내 갈등이 다시 증폭된 건 오전부터 ‘박영선 추대론’이 흘러나왔기 때문이다. 이인영 의원은 MBC 라디오에 나와 “박 의원이 ‘혁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최선의 카드”라고 주장했다. 이 추대론은 이인영·김현미·우상호 의원 등 486 세력과 선대위 출신인 김기식·은수미 의원 등 범주류 의원을 중심으로 제기됐다. 지난 6일 이들과 만난 박 의원도 수락 의사를 내비쳤다고 한다.

이에 비주류 측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중립파 전순옥 의원은 미니 의총에서 “단일화 협상에 실패해서 졌다. 책임져야 할 사람이 있어야 한다”며 우회적으로 당시 협상팀장이었던 박 의원 추대에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비주류 측 문병호 의원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대선 평가를 철저히 할 사람을 비대위원장으로 선출한다는 대원칙을 세웠는데 (박 의원 추대는) 정말 염치가 없다”고 비판했다. 비주류 쇄신파 측 인사도 “박 의원은 비대위원장 이후 차기 원내대표를 노리고, 이인영 의원은 당권을 맡기로 역할분담을 한 것이냐”고 따졌다.

반발이 거세지자 박 원내대표는 오후 재선의원 간담회에서 “박 의원 추대는 반대가 너무 심하다. 다수의 동의가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추대할 수는 없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비대위원장 후보로는 박병석 의원이나 원혜영 의원 등으로 압축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주류와 비주류 간 충돌로 추대가 아닌 경선 가능성도 내놓고 있다. 박 원내대표도 “합의가 안 되면 경선도 민주주의”라고 말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