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이란경제 붕괴수준 추가제재… 핵심자원 거래 외국기업 규제

입력 2013-01-07 19:02

미국 정부의 신규 이란 제재가 사회기반시설 타격 등으로 압박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7일 보도했다.

새 조치는 이란이 핵프로그램 제재에 대한 서방과의 협상 재개 의지를 보이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미국이 핵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이번 조치는 우선 제재 범위를 확장했다. 과거 제재가 이란 핵 산업과 직접 관련된 개인, 자국 기업을 제재하는 데 그쳤다면 이번에는 외국 기업까지 제재 대상에 포함시켰다. 또 선박, 항만 관리부터 국영 미디어에 이르기까지 핵심 산업에 타격을 주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알루미늄, 철강, 석탄 등 건축과 자동차 산업에 필요한 자원을 거래하는 세계 기업 또한 제재 대상에 포함된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란 경제 붕괴에 위협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주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서명한 신규 제재는 180일 내에 시행된다. 그러나 미 정부 내에서도 다양한 진영으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어 실효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란이 핵프로그램을 단념하기에 지나치게 약한 제재라는 강경파부터 신규 제재가 역효과를 유발한다는 온건파까지 다양하다.

미국의 ‘경제적 올가미’는 이란이 핵 협상 준비 중에 나온 조치라고 WP는 전했다. 이란의 최고 핵 협상가는 장소, 시간이 확정되진 않았지만 이달 안에 서방과 협상하겠다고 지난 4일 밝힌 바 있다. 이란의 공개적 협상 재개 노력은 보기 드문 것으로 절박한 경제 상황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해 이란 경제 규모가 약 1% 위축한 것으로 전망했다. 이란 통화 가치는 지난 8월 이후 40% 급락했다.

박유리 기자 nopim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