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업무 시작] ‘햇볕보다 안보’… 전력증강 통한 對北 억지력 강화
입력 2013-01-08 00:23
윤곽 드러나는 국방정책 로드맵
차기 정부의 국방정책 로드맵이 윤곽을 드러냈다. 방점은 일단 안보태세 확립에 찍혀 있다. 북한이 남북간 해상경계선인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하고 핵과 미사일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등 한반도 안보 여건이 어느 때보다 좋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김장수 외교·국방·통일 분과 간사는 7일 기자들과 만나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국방 공약 중 가장 긴급한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무엇보다 안보 대비태세 점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선 과정에서 박 당선인이 언급한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방위태세’와 ‘통합된 위기관리기구 설치’에 우선순위를 두겠다는 의미다. 같은 맥락에서 사거리 800㎞ 탄도미사일 개발 외에도 미국으로부터 글로벌호크 정찰기를 구입하는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 위협에 맞서 ‘선(先) 정찰, 후(後) 타격’ 개념의 방위 체제를 완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가안보실(가칭) 설치도 시급한 과제로 논의될 전망이다. 박 당선인은 다양한 국가적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재편하겠다고 공약했다. 대북문제 외에도 미·중·일·러 등 주변국들의 국제정세가 급변하고 있다는 인식과 맞닿아 있다. 최근 취임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역시 일본판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설치를 공약했고, 중국과의 영토분쟁 문제를 빌미로 글로벌호크 도입을 추진 중이다. 김 간사는 국가안보실에 대해 “과거 정부와는 다른 개념이 될 것인데,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인수위에서 논의할 방침”이라고 했다. 박 당선인도 관련 부처들에 대한 ‘통섭’(統攝·전체를 도맡아 다스림)과 조정 역할을 할 정책 컨트롤타워를 강조함에 따라 통일·안보·외교 현안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상설 기구가 될 공산이 크다.
하지만 국민적 관심사인 사병 복무기간 단축이나 사병 봉급의 단계적 인상, 군 복무기간의 공무수행 경력 인정 등은 후순위로 밀릴 것으로 예상된다. 김 간사는 “복무기간 단축은 임기 내 시행할 것”이라며 “(그러나 실행 시기는) 군 자원을 얼마나 확보하는지에 달렸다”고 말했다. 올해 2000명 증원이 예정된 하사관 증원 총규모가 1만명이 되는 시점부터 단계적인 복무기간 감축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반면 국방부는 4만명 이상 증원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