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흥국 위주 무역·투자정책 더 강화할 때
입력 2013-01-07 18:36
신흥국들의 위상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투자규모는 지난해 신흥국이 8조7040억 달러로 선진국(8조3220억 달러)을 앞섰으며,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신흥국이 올해 전망치 44조1240억 달러로 선진국(42조7120억 달러)을 따라잡을 모양이다.
선진국 그룹은 미국 캐나다 유럽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이다.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 그룹은 중국을 비롯한 브라질·러시아·인도(BRICs), 동남아국가연합(ASEAN), 중남미, 중동 국가들을 포함한다. 지난 10년간 투자규모는 신흥국이 5.2배로 늘었으나 선진국은 겨우 1.6배로 증가했다.
선진국들이 금융·재정위기에 허덕이는 동안 신흥국들은 꾸준히 투자를 늘리면서 고성장을 해왔다. 중국을 비롯한 BRICs가 다소 주춤거리고 있으나 성장률 둔화가 이들 국가의 경제력 위축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미 BRICs의 경제규모는 구매력평가 기준으로 2011년 미국을 앞섰다.
우리나라의 수출입구조 역시 신흥국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수출에서 신흥국 비중은 2002년만 해도 53.2%로 선진국(46.8%)과 별 차이가 없었으나 2012년엔 72.8%로 커졌다. 수입 역시 같은 기간 47.1%에서 62.9%로 늘어났다. 세계경제의 지각변동에 합당하게 대응한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경계해야 할 측면도 적지 않다. 우선 대(對)중국 쏠림 현상이다. 2002∼2010년 대중국 수출비중은 14.6%→25.5%, 수입은 11.4%→15.6%로 급격하게 늘었다. 또 신흥국 중심의 교역이 대세라고 해도 수출상품의 첨단·고품질화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 활력이 다소 떨어지기는 했으나 선진국시장은 여전히 첨단 상품들이 겨루는 최고의 무대이기 때문에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신흥국들도 최근 현지화와 내수 중시 노선을 표방하고 있어 그에 상응한 대책이 필요하다. 중국의 경우 중간재를 수입·가공해 수출하는 가공무역보다 내수를 중시하기 시작한 만큼 현지화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자원부국인 신흥국들에 대한 직접투자도 늘려 자원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