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박근혜 組閣 인선 어떻게… 키워드는 ‘대탕평+능력’
입력 2013-01-06 19:37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6일 국무총리와 각 부 장관 등 조각(組閣)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내각 인선은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달리 후보자들이 대부분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더욱 철저하고 면밀한 검증이 이뤄질 수밖에 없다.
첫 조각 콘셉트는 ‘대(大)탕평’과 ‘능력’이다. 박 당선인은 지난달 20일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서 “과거 반세기 동안 극한 분열과 갈등을 빚어 왔던 역사의 고리를 화해와 대탕평책으로 끊도록 노력하겠다”며 “모든 지역과 성별, 시대의 사람들을 골고루 등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기회균등위원회를 설치해 여야를 떠나 능력 있는 사람을 발탁하겠다고 약속했다.
가장 큰 관심은 1월 말로 예상되는 박근혜 정부의 초대 총리 지명이다. 총리 인선은 내각 구성의 첫 단추라 할 수 있다. 박 당선인은 헌법에 명시된 총리의 국무위원 제청 권한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따라서 첫 총리 지명자는 국회 임명동의를 받은 뒤 각 부 장관 등 국무위원을 3∼4배수 제청할 것으로 보인다.
총리는 박 당선인이 강조해온 국민대통합의 상징성을 살리면서 내각을 실질적으로 이끌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한 인물이 기용될 전망이다. 우선 국민대통합 정신을 살리기 위해 비(非)영남, 특히 호남 출신 인사들이 후보 물망에 오르내린다. 현재 박준영 전 전남지사가 적임자로 꼽힌다. 전남 영암 출신으로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박 전 지사는 이번 대선에서 박 당선인의 총리 러닝메이트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역시 호남 출신인 한광옥 인수위 국민대통합위원장과 진념 전 경제부총리, 정갑영 연세대 총장도 후보군에 올랐다. 이 가운데 진 전 부총리와 정 총장은 경제통이라는 점에서 글로벌 경제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현 상황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박 당선인을 지지하지 않은 ‘48%의 국민(민주통합당 문재인 전 후보 지지자)’을 끌어안기 위해 보수색이 옅은 중도·개혁 진영 인사가 지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념을 초월한 탕평 인사라는 점이 부각되고 인사청문회를 벼르고 있는 야당의 예봉도 피해갈 수 있다. 진보·개혁 진영 출신으로 박 당선인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힌 박상증 전 아름다운재단 이사장이 거론된다. 하지만 인수위 인선에서 보듯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의외의 인사가 깜짝 발탁될 가능성도 있다.
장관 인선에서는 전문성이 강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치인 입각은 최소화되고 정책 실무에 밝은 전문가나 관료 출신이 기용될 공산이 크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