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인수위 출범] 朴 첫 내각 인사검증 어떻게… 靑민정수석실 협조받아 검증

입력 2013-01-06 22:01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공식 출범하면서 최대 관심사는 박근혜 정부의 첫 내각과 청와대 참모 인선이다. 새 정부의 국무위원들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할 수 있어야 하는 만큼 정밀한 ‘현미경’ 인사 검증이 진행될 전망이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6일 인선과 검증 기준과 관련해 “제가 말씀드릴 건 아니지만 작업은 하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인수위 활동기간은 다음달 24일까지 50일로 17대 인수위보다 짧기 때문에 박 당선인은 이달 말이나 늦어도 다음달 초까지는 인선을 마무리해야 한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인사 검증을 하기엔 다소 촉박한 일정이어서 내각 인선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인선은 박 당선인의 최측근들이 배치된 비서실에서 전담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서실은 박 당선인의 지시에 따라 후보군을 발굴·면담하고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협조를 얻어 내각 후보군의 재산 병역 등 기본 신상을 검증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과거 이명박 당선인의 경우에도 비서실 내에 별도 인사검증팀을 둬 인선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에는 검찰 경찰 국세청 등 사정기관 인력과 국회 보좌진 등으로 인사검증팀을 꾸렸다고 한다. 노무현 당선인의 경우 비서실장과 민정수석 등 청와대 참모진을 먼저 인선한 뒤 이들을 내각 검증에 활용하는 ‘2단계 인선’을 실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 정부의 내각 인선 기준은 전문성과 도덕성이 최우선시될 것으로 관측된다. 박 당선인이 인수위원의 60% 정도를 전현직 교수로 채웠다는 점에서 이미 전문가 기용 원칙은 확인된 바 있다. 여기에 더해 까다로운 인사청문회 절차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도덕성을 갖춘 인사들이 후보군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인수위원 인선 과정에서 윤창중 대변인의 과거 ‘막말’과 청년특위 일부 위원들의 전력이 논란을 일으킨 만큼 도덕성 검증이 더욱 치밀하게 이뤄질 것이란 해석이다.

‘철통보안 인사’ 기조 역시 계속될 것 같다. 인수위원 인선도 보안 속에서 예상외 인물이 대거 발탁됐다. ‘깜깜이 인사’라는 비판에 대해 박선규 당선인 대변인은 5일 브리핑에서 “나 홀로 인사, 깜깜이 인사라는 문제 제기가 있는데 그렇지 않다”며 “인사 추천, 검증, 인사권자의 결정 등 모든 과정을 거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최측근으로 구성된 비서실이 인사를 전담할 경우 부실 검증 논란이 불거질 개연성도 적지 않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