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사태 현장에 간 여당… ‘박근혜 대통합’ 첫발

입력 2013-01-04 19:43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와 원유철 의원 등이 4일 정리해고 및 퇴직자 복직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경기도 평택 쌍용자동차 공장을 찾았다. 해고자 자살 등으로 우리 사회의 대표적 갈등 사안이 된 쌍용차 사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현장 방문에는 평택이 지역구인 원(평택갑) 의원과 이재영(평택을) 의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서용교, 최봉홍 의원이 참여했다. 이들은 쌍용차 경영진, 노조 관계자들과 잇달아 간담회를 가진 데 이어 쌍용차 노조원의 송전탑 고공농성 현장을 방문했다.

이 원내대표는 경영진과의 간담회에서 “방문한 목적은 퇴직자 복직 문제와 관련해 회사의 특별한 방법이 없는지,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없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원 의원은 “오늘 방문을 계기로 쌍용차의 2009년 8월 6일 합의가 이행돼 쌍용차 구성원들이 힘차게 일할 여건이 만들어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쌍용차 노사는 2009년 8월 6일 정리해고 대상자(974명) 중 절반에 대해 고용관계를 유지키로 합의했지만 합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해고자 및 가족의 연쇄 자살과 고공 농성이 40여일간 지속되고 있다.

쌍용차 이유일 대표는 간담회에서 “무급휴직자, 희망퇴직자와 정리해고자까지 단계적으로 노사 합의를 전제로 복직을 아주 가능한 이른 시일 내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고 원 의원이 전했다. 그러나 쌍용차 정무영 상무는 “정확히는 ‘회사의 경영정상화 단계에 따라서’라는 말이 전제돼야 한다”며 “회사가 공장을 돌릴 수 있는 수요를 확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원내대표는 노조원들의 국정조사 실시 요구에 대해선 “찬성하지 않는다. 거기에 대해선 회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종 목표는 국정조사가 아니라 여러분의 문제를 푸는 것 아니냐. 우선 농성을 풀고 기다리는 게 문제를 푸는 데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며 농성 철회를 제안했다.

이에 노조원들은 “쌍용차 사태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회계 조작이 있었고 이를 규명하기 위해 국정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거듭 요청했다.

박기춘 원내대표 등 민주통합당 지도부도 서울 대한문 앞 쌍용차 사망 노동자 분향소를 방문해 “1월 임시국회에서 국정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윤관석 원내대변인은 “국정조사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김무성 전 총괄선대본부장, 새누리당 환노위원들이 전부 약속한 사안이므로 더 미뤄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손병호 유동근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