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인수위 출범] 위원중 절반이 현직 교수… 친박·정치인 최대 배제

입력 2013-01-04 22:52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자신과 국정철학을 공유해 온 정책 전문가 중심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꾸렸다. 친박(親朴·친박근혜)계 의원을 비롯한 정치인은 최대한 배제했다. 새 정부 출범을 준비하고 정권을 인수인계하는 과정에서 공약을 정책으로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해 당선인의 생각을 잘 아는 전문가들이 전진 배치된 모양새다. 그만큼 청와대와 내각으로 곧바로 옮겨갈 가능성은 작아졌다는 관측이 많다.

◇현직 교수·행추위·미래연 출신 대거 발탁=4일 발표된 인수위 추가 인선안에는 현직 교수만 12명이 포함됐다. 전체 인수위원(위원장과 부위원장 제외) 24명 중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다. 명단에 이름을 올린 현역 의원 5명 등 나머지 인사들도 교수 출신이거나 담당 분야에서 오랫동안 경험을 쌓은 전문가들이다.

박 당선인의 대선 공약을 총괄한 국민행복추진위원회와 싱크탱크 역할을 했던 국가미래연구원 출신 인사들이 대거 합류했다. 행추위에서는 단장급을 포함한 14명이 인수위원으로 활동하게 됐다. 이현재 경제2분과 간사는 경제민주화추진단에서 활동했고 김장수 외교·국방·통일분과 간사는 국방안보추진단장 출신이다. 최성재 고용복지분과 간사는 편안한삶추진단장을 지냈으며 곽병선 교육과학분과 간사는 행복교육추진단장을 맡아 당선인을 도왔다. 안종범 고용복지분과 위원, 윤병세 외교·국방·통일분과 위원, 김현숙 여성·문화분과 위원 등도 행추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아 공약 개발을 주도했다. 미래연 회원은 최대석 외교·국방·통일분과 위원, 홍기택 경제1분과 위원 등 7명이 이름을 올렸다.

◇친박계 기용은 최소화=당선인의 ‘복심’으로 통하는 최경환 유정복 의원이나 대선 승리에 기여했던 권영세 전 의원, 이주영 의원 등이 중용될 것이란 예상은 빗나갔다. 인수위 9개 분과 전체를 조율하고 총괄하는 국정기획조정분과 간사만큼은 친박을 배치할 것으로 관측됐지만 정가에 잘 알려지지 않은 유민봉 성균관대 교수가 ‘깜짝 발탁’됐다. 박 당선인의 공약을 줄줄이 꿰고 있는 강석훈 의원을 위원으로 임명해 유 간사를 돕도록 했다.

◇강한 검찰 개혁 의지, 경제민주화는 후퇴?=검찰 개혁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법질서·사회안전분과나 정무분과에는 검찰 출신을 한 명도 기용하지 않았다. 이혜진 법질서·사회안전분과 간사는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줄곧 변호사로 활동했고 정무분과의 박효종 간사나 장훈 위원은 대검찰청 중수부 폐지를 골자로 하는 ‘박근혜표 검찰개혁안’을 내놨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정치쇄신특별위원회에서 활약했었다. 검찰의 반발을 의식하지 않고 개혁 드라이브를 걸 수 있도록 비(非)검찰 출신 인사들을 관련 분과에 배치한 것으로 분석된다.

박 당선인이 약속했던 경제민주화를 추진할 인물이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새누리당 경제민주화의 아이콘 김종인 행추위원장은 명단에서 빠졌고 경제1·2분과 위원으로 임명된 홍기택 중앙대 교수와 서승환 연세대 교수는 우파 색채가 강한 학자로 분류된다.

24명인 인수위원들의 출신 지역은 서울이 7명으로 가장 많았고 영남이 6명, 호남 출신이 4명이었다. 출신 대학은 서울대가 11명이고 연세대와 성균관대 출신이 각각 3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박 당선인의 모교인 서강대와 이 대통령 모교인 고려대는 1명씩 포함됐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