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통령직 인수위원들 과욕과 오만 경계하길

입력 2013-01-04 18:46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김용준 인수위원장을 통해 4일 발표한 인수위 9개 분과 간사와 인수위원 면면을 보면 전문성을 중시한 인사(人事)라고 평가할 수 있다. 행정과 인사 분야에 능통한 유민봉 성균관대 교수가 인수위 총괄간사를 맡는 등 오랫동안 각 부문에서 전문성을 키워온 교수들이 대거 기용됐다. 경제1, 경제2 분과 간사로 임명된 새누리당 현역 의원 2명도 경제에 밝은 인물들이다.

인수위는 다음주부터 본격 활동에 들어간다. 박 당선인의 대선 공약들을 정책으로 전환하는 일이 시작되는 것이다. 박 당선인은 선거를 앞두고 수많은 공약을 내놓았다. 5년 임기 내에 전부 이행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인수위원들은 박 당선인 공약들을 분석해 비교적 실천하기 쉽거나 시급히 이행해야 할 공약 등 우선순위를 정해 ‘박근혜 정부’ 5년의 청사진을 마련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새 정부 경제 운영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있는 공약은 과감하게 포기해야 하며, 민주통합당 공약 가운데 일부를 수용하는 열린 자세도 요구된다. 국민들은 인수위 활동을 통해 박 당선인이 향후 대통령으로서 어디에 방점을 두고 국정을 이끌어갈 것인지를 가늠하게 되는 만큼 한 치의 빈틈도 없어야겠다.

정권이 야당으로 교체된 것이 아닌 만큼 인수위 활동은 이명박 대통령 때보다 다소 수월할 것이다. 인수위원 다수가 학자들인데다 인수위 활동이 끝나면 대부분 원래 자리로 돌아갈 것이라는 게 김 위원장 설명이어서 예전처럼 점령군 행세를 할 가능성도 적어 보인다.

그렇더라도 과욕과 오만은 항상 경계해야 한다. 자칫 집권 초부터 민심 이반을 불러올 수 있다. 이를 위해 현 정부 관계자들로부터 현안에 대해 설명이나 보고를 받을 때 불필요한 마찰을 일으키거나 위세를 부려선 안 된다. 설익은 정책을 발표하거나 소소한 정책까지 챙기려는 행태 역시 지양해야 한다. 불필요한 혼란을 불러일으켜 정책의 큰 줄기를 잡는 데까지 악영향을 미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인수위원들 간에 불협화음이 나오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