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끝난 지 2주가 넘었건만… 황당한 ‘부정개표’ 논란
입력 2013-01-03 19:39
새누리당은 3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서 보름째 확산되고 있는 18대 대선 부정개표 논란과 관련해 “괴담이 유포되고 있다”며 관련자 고발 등 강력한 처벌을 촉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일부 시민단체가 선거무효소송을 내겠다고 밝히는 등 대선 후유증이 커지고 있다. 보수와 진보가 총력전을 펼쳤고 다양한 부정개표 의혹이 제기되면서 민주통합당 문재인 전 대통령 후보 지지자들이 좀처럼 패배를 인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새누리당 심재철 최고위원은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중앙선관위의 반박에도 불구하고 허위 주장이 인터넷에 유포돼 사람들을 현혹하고 있다”며 “선관위가 거짓말 유포를 방조하지 말고 형사고발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미국 백악관 홈페이지에 한 네티즌이 ‘한국 대선에서 선관위의 부정 집계가 이뤄졌다’는 청원을 올렸다는데 개탄스럽다”며 “민주주의 근간을 뒤흔들고 새 정부의 정당성을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새누리당이 괴담 유포자 강력 처벌을 주장하고 나선 것은 부정개표 논란이 자칫 새 정부 출범 과정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이명박 정부 출범 첫해인 2008년 발생한 광우병 논란에 이은 촛불사태까지는 아니어도 향후 국정운영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시민단체와 네티즌으로 구성된 ‘선거소송인단 모임’은 “전자개표기를 이용한 개표 절차에 불법·부정선거가 있었다”며 선관위원장을 상대로 4일 대법원에 선거무효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다.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에 마련된 ‘수(手)개표 청원’에는 이날까지 약 22만명이 서명했다. 일부는 5일 촛불집회를 열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
수개표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제기하는 의혹은 문 전 후보 지지표의 무효표 분류, 투표수와 개표수의 차이, 전자개표기(투표지 분류기)의 신뢰성 의심 등이다. 그러나 선관위는 무효표 의혹에 대해 “무효표가 아니라 미분류표이며, 미분류표는 개표사무원이 육안으로 분류해 집계에 포함시킨다”고 반박했다. 또 투표용지 교부 수는 투표소당 평균 0.1장 정도 많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특히 네티즌들은 2004년 필리핀 대법원의 한국산 전자개표기 도입 불허, 2008년 국정감사에서 드러난 조작 가능성을 예로 들며 전자개표기의 신뢰성에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선관위는 “현실적으로 해킹 및 프로그램 조작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일부 네티즌은 수학적 계산을 통해 미리 짜맞춘 듯한 득표 곡선이 형성됐다는 의혹도 내놨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