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요직 나눠먹기’ 조짐에 급제동… 새누리, 입각 신경전 차단
입력 2013-01-03 19:33
새누리당이 박근혜 정부 출범을 두 달 앞두고 입각(入閣)을 둘러싼 물밑 신경전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정부 요직 나눠먹기’ 다툼으로 번질 수 있는 갈등을 미리 차단하려는 의도다.
황우여 대표는 3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새해 첫 최고위원회의에서 “선거 뒤에는 이른바 논공행상을 하는 일이 남는데 이것을 정부 인사에 반영하는 것은 국가의 방향과 맞지 않다”며 “국가는 국가 나름대로 국민을 위주로 일해야 하기 때문에 선거에 관한 논공행상은 당에서 책임지고 배려해서 해소하는 것이 옳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황 대표는 “당은 그동안 고생하신 여러분에 대해서 잊지 않고 당직 임명 등을 통해 예우를 갖추고 고마움을 표하는 일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최근 당내 일각에서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선도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찌감치 입각 여부를 논하는 기이한 현상이 목격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예년과 다르게 인수위 인선을 내각 구성으로 연결짓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치면서부터다. 일만 하고 본업으로 복귀해야 하는 인수위보다 정부 공직을 맡는 것이 더 실속을 챙길 수 있다는 판단인 셈이다. 법무부 장관 자리만 해도 법조인 출신 현역 의원 최소 4명이 암암리에 입각 의지를 비치고 있다.
다만 자신의 희망사항을 드러내고 밝히는 인사는 찾아보기 힘들다. 박 당선인이 개인적인 욕심으로 일하는 사람을 싫어하고 기회까지 박탈한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친박(親朴·친박근혜계) 인사들이 대선 승리 뒤에 표면적으로는 일선에서 빠져 있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아울러 황 대표는 “박 당선인께서 약속한 국민행복·국민통합·정치쇄신의 3대 과업을 당에서 뒷받침하고 꼭 이뤄내야 한다”며 “특히 국민통합을 위해서는 우리를 지지하지 않았던 48%(민주통합당 문재인 전 후보 득표율)의 국민을 만나 그분들의 말씀을 듣는 ‘만남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는 최고위원회의를 전국을 돌면서 현장에서 개최하겠다”고 덧붙였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