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건강한 기업생태계 위해 중견기업 육성 시급
입력 2013-01-02 18:42
우리나라 기업생태계는 흔히 양극화로 특징지워지고 있으나 더 큰 문제는 양극화를 완화할 수 있는 여지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발전하고 중견기업이 대기업으로 도약하는 등의 기업생태계의 역동성을 전제할 때 그 중심을 형성하는 중견기업을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2일 코트라에 따르면 2010년을 기준으로 국내 312만5000여 기업 중 중견기업은 1291개로 겨우 0.04%였다. 대기업은 0.006%로 극소수에 불과하고 중소기업은 312만2000여개로 99.9%를 차지했다. 중견기업의 고용 규모도 108만명으로 전체 고용 노동자 1413만명의 7.6%에 불과했다.
중견기업은 중소기업법의 정의에 따르면 3년 평균 매출이 1500억원 이상이나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군에 속하지 않는 회사다. 한국의 기업생태계는 거의 대부분인 중소기업, 극소수의 대·중견기업으로 구성돼 있는데 대기업을 견제할 정도의 역량 있는 중견기업은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반면 기업생태계의 미들파워가 탄탄한 독일의 경우는 중견기업이 기업 수에서는 11.8%, 고용 규모로는 46%를 차지할 정도로 막강하다. 그밖에도 스웨덴 13%, 스위스 2% 등 유럽 각국을 비롯해 일본과 대만도 각각 중견기업 수가 3.7%, 2.2%를 차지해 우리보다 한참 많다.
본보가 지난달부터 펼치고 있는 연중 특별기획 ‘독일을 넘어 미래한국으로’에서 여러 차례 확인된 것이지만 독일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경제를 꾸려올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견기업을 빼놓고 거론하기 어렵다.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역량이 자연스럽게 대기업과의 협력관계를 심화시키고 ‘고품질 고가격(High-end)’ 제품에서 글로벌 시장을 압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중견기업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배경에는 중소기업 졸업에 따른 지원 단절을 우려한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중소기업 졸업과 관련해 점진적인 지원 단절방식뿐 아니라 중견기업 환경 개선을 강화해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방안도 요청된다. 기업생태계 개선이 글로벌 경쟁정책의 기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