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홍 겪는 민주당] 탄력받는 민주 조기 전대론… 3월쯤 정식 지도부 선출

입력 2013-01-02 19:22

민주통합당이 비상대책위원장 임명을 위한 여론수렴을 진행 중인 가운데 새해 들어 조기 전당대회론이 폭넓게 확산되고 있다. 비대위원장을 임명하더라도 한시적으로 제한된 역할을 맡기고 3월쯤 정식 지도부를 선출해 강력한 리더십으로 당을 이끌게 하자는 것이다.

민주당 정성호 대변인은 2일 KBS 라디오에 나와 “곧 추대될 비대위원장의 역할 범위에 대한 당내 견해차가 있다”며 “전대 준비 문제를 위해서라면 임기가 3월 정도면 되고, 당의 쇄신까지도 만들어 내야 한다면 5월까지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감하게 당의 쇄신을 이끌려면 조기 전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비주류 좌장격인 김한길 전 최고위원계다.

실제 비주류 내에는 2월이나 3월에 조기 전대를 개최하자는 목소리가 많다. 그래야 여야 영수회담도 하고 4월 24일 재·보궐선거도 책임 있게 치를 수 있다는 것이다.

조기 전대론을 친노(親盧·친노무현)계가 강력 반대한다고 알려져 왔지만, 친노계 일각에서도 조기 전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친노계 핵심인 한 초선 의원은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정식 전대에서 뽑힌 당 대표도 쉽게 흔들리는데, 추대에 의한 비대위원장 체제가 힘을 발휘하겠느냐”며 “조기 전대로 강력한 지도부를 뽑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친노계는 조기에 전대를 치르더라도 세(勢) 대결에서 꼭 불리하지만은 않다는 판단도 하고 있다. 다만 대선 패배 뒤 금방 주류, 비주류가 싸우는 모양새로 비치는 것은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예정대로 오는 10일쯤 당무위원회·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비대위원장을 추대할 방침이다. 비대위원장 임기 문제는 여론수렴을 더 거치기로 했다. 비대위원장에는 당내 인사가 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현재로선 더 크다. 당의 중차대한 역할을 당 밖의 인사에게 맡기는 게 무책임하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MBN 방송에 출연해 “문재인 전 후보 캠프의 윤여준 국민통합추진위원장도 비대위원장감으로 괜찮다”고 제안했다.

손병호 김아진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