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인수위 추가인선 고민] 인수위 3대 금기 끝까지 지켜질까… 설익은 정책, 점령군 행세, 요란한 일정

입력 2013-01-01 21:25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측은 역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활동에서 드러났던 폐해를 재현하지 않으려 부심하고 있다. 이에 이번 인수위에서는 설익은 정책 발표, 점령군 행세와 권력투쟁, 시끌벅적한 당선인 일정 등이 ‘금기사항’이 됐다고 한다.

박 당선인의 대선 슬로건 ‘준비된 대통령’은 주로 ‘정책을 오랫동안 준비했다’는 의미로 쓰였다. 인수위에서 미숙한 정책이 나오지 않을 것이란 주장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당선인 주변의 한 인사는 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100% 실현 가능성을 따져 오래 준비한 공약집이 있다. 인수위는 재원이나 법안 등 구체적 계획만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박 당선인의 핵심 측근은 “당선인이 권력투쟁이라면 질색을 한다. 역대 정권이 자기들끼리 싸우다 망했다. 절대 권력 나눠먹기는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용준 인수위원장이 “인수위원들은 임무가 끝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고 선을 그은 것도 이 때문이란 설명이다.

2007년 이명박 당선인은 그해 12월 26일 인수위 첫 전체회의에서 “백지에 그림을 그리는 심정으로 일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후 두 달간 수많은 ‘새 정책’이 쏟아졌다. 한반도 대운하 사업은 여당 내에서도 비판이 일었다. 인수위 출신 인사들이 대거 정부 요직에 기용되면서 ‘고소영·강부자 내각’이란 비난을 받았다. 2002년 노무현 당선인의 인수위도 정부와 조율하지 않은 정책을 발표해 혼선을 빚었고 ‘점령군 논란’이 불거졌다.

박 당선인이 이런 선례와 분명하게 다른 모습을 하나 보이긴 했다. 조용하게 새해를 시작했다는 점이다. 지금은 정권 인수 준비를 해야 하는 단계이고 당선인 신분으로 떠들썩한 모습을 외부에 보일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