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실패땐 세금 폭탄” 부동산시장 벌써 꿈틀… 대형건물 서둘러 계약체결

입력 2012-12-31 19:20

미국 부동산 시장에는 재정절벽의 효과가 이미 나타나기 시작했다. 뉴욕시 5번가에 위치한 5층짜리 아파트 건물이 지난 27일 2390만 달러(약 256억원)에 팔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에도 2750만 달러에 시장에 나왔던 이 건물은 재정절벽 협상이 실패할 경우 새해부터 적용될 높은 부동산 세금을 피하기 위해 서둘러 계약이 체결됐다.

WSJ는 뉴욕에서만 수십 건의 대형건물 매각이 연말에 이뤄지는 등 4분기 부동산 거래가 예년보다 급증했다고 전했다. 부동산업자 프레드릭 피터는 “부동산 재벌 록펠러가 살던 810번가의 건물은 수개월까지 걸리던 시위원회의 거래 승인도 이례적으로 29일 토요일에 전격적으로 이뤄졌다”고 전했다.

재정절벽으로 세금감면 조치가 종료되면 부동산 처분 소득에 대한 세금은 최고 8.8%까지 오르고 협상 결과에 따라 더 높아질 수도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실업수당 연장이 무산되면 당장 200만명이 새해 첫날부터 빈털터리가 된다. 근로소득세도 일괄적으로 올라 1월 말 노동자들이 받게 될 월급봉투는 더 얇아진다. 고소득자에게는 의료보험 지원을 위한 새로운 세금항목이 추가된다.

노인 의료보험(메디케어)의 정부 지원금은 27%가 줄어든다. 1100억 달러의 재정 지출 삭감이 그대로 실행된다면 10월까지 경비 절감을 위해 수십만명의 군인과 연방정부 공무원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고 뉴욕타임스는 예상했다.

무엇보다 연방정부의 부채 상한선이 더 올라가지 않으면, 재무부가 비상조치를 시행하더라도 2월 말을 전후해 미국은 사상 초유의 채무불이행 사태에 직면하게 된다. 누구도 원하지 않는 시나리오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