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9개 분과 설치] 해 넘긴 인선 왜?… 청년특위 전력 논란에 ‘검증’ 신중 기하는 듯

입력 2012-12-31 21:07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31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추가 인선 없이 조직 구성만 발표하자 특유의 지지부진한 인사 스타일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당 일각에선 “인선이 늦어지는 것도 문제지만 늦고도 뒷말까지 나오는 게 더 문제”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추가 인선에 시간 더 필요”=일부에서는 인수위원 명단도 발표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다시 미뤄지면서 해를 넘기게 됐다. 검증 속도에 따라 최종 임명까지 시일이 더 걸릴 수도 있다. 김용준 위원장은 “임면권자가 확인도 해야 하고, (후보자들의) 신원 (검증) 관계도 있고, 국민들의 욕구가 많으니까 제대로 충족시키려면 시간이 다소 필요하다고 했다”며 박 당선인의 의중을 전했다.

박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는 “오늘 발표는 인수위 구성과 기능에 대한 언론의 억측이 많아 이해를 돕는 취지에서 하는 것”이라면서도 “청문회 절차가 필요한 총리 임명, 법적 절차가 지난한 정부조직 개편 등을 고려하면 시간이 촉박하다. 지금쯤은 끝냈어야 했다”고 털어놨다. 갈 길이 먼데 지나치게 신중한 박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 때문에 초조하다는 것이다.

◇도마에 오른 ‘독단’ ‘보안주의’=박 당선인의 ‘찔끔 인사’ 스타일은 반복돼 왔다. 경선·대선 선대위를 꾸릴 때도 일부 인선만 따로 떼어 발표하는 일이 잦았다. 다른 관계자는 “박 당선인이 실무자 한 명까지 직접 챙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직접 적임자를 찾고 책임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윤창중 수석대변인 사례처럼 검증이 부실한 깜짝 인선이 나오는 부작용도 있다.

보안도 너무 지나치다는 지적이다. 박 당선인은 언론에 거론된 인사는 무조건 배제한다는 말이 있을 만큼 인선이 미리 알려지는 걸 극도로 꺼린다. 측근들은 인선 라인이 알려질 경우 이른바 ‘줄’을 대려는 사람이 생기기 때문에 나온 방식이라고 전했다. 특히 인수위 인선에서 보안이 한층 철저해진 것은 이명박 정부의 ‘영포(영남·포항)라인’ 같은 실책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라고 한다.

◇꼼꼼히 하고도 ‘구멍’ 노출=인수위에 임명된 한 인사는 검증이 있었느냐는 질문에 “그간 당에서 활동한 사항이 있기 때문에 (박 당선인이) 그런 자료를 중심으로 확인한 것 같다. 별도 검증은 없었다”고 털어놨다. 본인 동의가 필요한 전과조회 등 기초적인 검증조차 없었다고 덧붙였다. 박 당선인이 직접 인선을 챙겼지만 청년특위 일부 위원들의 전력이 문제가 된 것은 검증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남은 인수위 인선과 조각(組閣)에서는 당선인 비서실에 인사검증팀을 꾸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