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예산’ 무엇이 담겼나] ‘당선인 MB’ 면담했던 곳… 조직 축소로 예산도 줄어

입력 2012-12-30 22:32

서울 통의동 금융감독원연수원 4층에 마련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집무실이 가동 준비를 마쳤다. 이곳은 박 당선인이 2007년 12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을 찾아가 면담했던 곳이기도 하다.

박 당선인 측은 사무실 4개 등 연수원 4층 일부를 임대했다. 당선인 비서실과 대변인실 일부도 함께 입주한다. 연수원 직원들은 당분간 당선인과 다른 출입구를 사용해야 한다. 27일 당선인이 사용할 집기 등이 완비된 뒤로 외부인의 접근이 금지됐다.

인수위 사무실 역시 지난 17대 인수위 사무실이 설치됐던 서울 삼청동 금융연수원에 차려졌지만 규모는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별관과 본관에 분과별 사무실 및 기자실이 자리 잡는다. 별관 1·2층은 분과별 사무실과 위원장 및 부위원장실로, 본관 2층은 기자실로 사용될 예정이다. 17대 인수위는 금융연수원 별관 1·2층은 물론이고 본관 지하 1·2·3층을 사용했다. 교원소청심사위원회,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별관에도 별도 공간이 마련됐었다.

이 같은 규모 축소는 인수위 예산 감축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17대 인수위 백서에 따르면 당시 인수위는 정부 예비비로 배정된 21억9700만원 중 16억3636만여원을 집행했다. 16대 인수위가 쓴 돈(14억7485만여원)보다는 많았으나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하면 실제 집행금액은 줄었다고 볼 수 있다.

박 당선인은 인수위 예산과 별도로 ‘대통령 당선인 예우 보상금’을 지급받게 된다. 이명박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5억1300여만원을 받아 4억4581만원을 지출했다. 10년 전 노무현 대통령 당선인에겐 2억3600만원이 책정됐었다.

박 당선인은 대선 승리 후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 직함을 내려놓고 평당원 신분이 됐다. 새누리당은 2002년 5월 한나라당 시절 당헌을 개정해 “대통령에 당선된 당원은 그 임기 동안 명예직 외의 당직을 겸임할 수 없다”는 조항을 신설했다. 박 당선인은 평당원이긴 하지만 당규에 따라 대통령으로서 직책당비(월 500만원 이상)를 내야 한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