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요금, 데이터 중심으로 바뀐다… 이통사 요금제 잇단 출시
입력 2012-12-30 22:50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통신정책 공약에 따라 이동통신 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박 당선인은 통신요금 인하 방안으로 데이터 중심 요금제 도입, 무선인터넷전화(mVoIP) 전면 허용과 이동통신 가입비 폐지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다. 통신업계는 박 당선인의 공약을 살펴보며 변화를 준비했다. 그 선두에 있는 것이 요금제다. 음성과 문자메시지 사용량에 따라 요금 정책을 세웠던 이통사들이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요금제도로 바꾸려는 시도에 나선 것이다.
SK텔레콤은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 요금제의 기본제공 데이터를 최대 5개 스마트기기에서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함께 쓰기’ 요금제를 31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미 KT와 LG유플러스는 스마트폰 요금제의 데이터를 다른 통신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셰어링(공유) 제도를 도입했다. 이통 3사 모두 데이터 공유제에 나선 것이다. 업계에선 이통사들의 데이터 공유제 시행이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가기 위한 수순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국내 이통사들은 요금제에 따라 음성·문자메시지·데이터를 묶어서 팔았다. 그러나 데이터 중심으로 요금제가 바뀔 경우 음성과 문자 사용량에 상관없이 ‘자신이 쓴 데이터 양만큼’만 요금을 내면 된다.
이통사들이 데이터 기반의 요금제 도입에 나서게 된 데는 이유가 있다. 최근 사진, 동영상, 게임 등의 이용이 늘면서 데이터 위주의 수익구조로 바뀌고 있는 데다 LTE 가입자가 1000만명이 넘어서면서 데이터 소비량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반대로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 열풍으로 연간 1조5000억원에 이르던 이통사들의 단문 메시지(SMS) 매출은 반토막 났다.
여기에 박 당선인이 mVoIP 전면 허용까지 약속하면서 이통사들은 다급해졌다. 지난 6월 통신사는 카카오톡이 mVoIP인 ‘보이스톡’ 서비스에 들어가자 음성 통화 수익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강하게 반발했다. 이통사 수익의 70%를 음성 통화가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박 당선인이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앞세워 요금 인하를 압박할 것이란 전망도 내놓고 있다.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는 일부 소비자를 제외한 대다수 사용자의 사용요금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일단 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자리를 잡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표현명 KT 사장도 지난달 데이터 공유요금제를 출시하며 “우리나라는 전화를 건 쪽과 받는 쪽이 모두 요금을 내는 미국과 달리 전화를 거는 쪽에서만 요금을 내기 때문에 무제한 음성 통화와 문자를 바로 제공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