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추가 인선] 구멍 난 인사검증 어찌할까… “지나친 보안때문” 지적도

입력 2012-12-30 22:30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구성 과정에서 ‘인사 검증’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윤창중 수석대변인 인선의 역풍이 만만치 않은 데다 일부 청년특별위원의 비리 전력 논란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당 밖에서 “인사 검증에 구멍이 뚫렸다”는 비판이 쇄도할 뿐 아니라 내부에서도 야당에 불필요한 공세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검증 부담이 더욱 커졌다.

박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는 30일 “인수위원 인선은 더 철저한 검증을 거칠 것”이라며 “인사 검증 필요성을 당선인도 절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별도 검증기구를 설치해 운영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방법은 정해지지 않았다. 박 당선인 주변에서는 청년특위 하지원 위원의 돈봉투 기소 전력이나 윤상규 위원의 하도급 대금 지급 지연에 대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파문 확산을 막는 데 주력했다. 박선규 대변인은 “청년특별위원은 인수위원이 아니고 두 달간 현장 목소리를 전달하고 필요한 것을 전하는 조언자”라며 “공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청와대와 행정안전부는 인사 검증에 최대한 협조한다는 입장이나 박 당선인 측은 아직 구체적인 협조 요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무엇이든 협조하기 위해 24시간 대기하고 있는데 아직 구체적인 인사자료 요청은 없었던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맹형규 행안부 장관도 “행안부 인사자료는 당선인이 요청하면 얼마든지 지원할 생각”이라며 “아직까지 (당선인 측에서) 요청은 없었다”고 말했다. 맹 장관은 “행안부 인사자료에는 전·현직 공직자가 모두 들어 있어 인사에 상당히 유용한 기본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을 놓고 박 당선인이 현 정권 ‘인재풀’과는 다른 인사들을 주로 기용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또 일각에선 박 당선인이 지나치게 ‘보안’을 내세워 폐쇄적으로 인사를 하다 보니 검증 협조를 받는 데 소극적이란 지적도 제기됐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