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국민대통합 시동] “노동자 자살사태 대책 강구”-“대통합은 광주서 시작”

입력 2012-12-28 19:17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조직 중 국민대통합위원회 인선을 가장 먼저 발표했다. 대선 과정에서 출범시킨 대통합위를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지속시켜 국민 통합을 일관되게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라고 한다.

한광옥 대통합위원장은 28일 김경재 수석부위원장과 함께 기자회견을 갖고 대선 이후 잇따르고 있는 노동자 자살 사태와 관련해 언급했다. 준비해 온 발언이 아니라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이었지만 박 당선인 주변에서 이 문제에 직접적인 반응을 내놓은 건 처음이다.

한 위원장은 “초대 노사정위원장을 했던 사람으로서 근로자들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고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 노동자들을 위로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새누리당에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조문을 가거나 환노위 회의를 소집해 대책을 찾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겨진 것은 아직 없다. 한 위원장은 자신이나 박 당선인이 직접 노동자 분향소나 노동 현장을 방문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미리 말하기보다 큰 틀에서 말씀드린 대로 논의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한 위원장은 대통합위 활동과 관련해 “지역·계층·세대·이념 간 갈등이 계속 쌓이면 견딜 수 없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며 “국민 대통합은 꼭 해야 하는 시대적 사명이고 의무”라고 말했다. 그는 “정치를 40년 하는 동안 인수위와 (대통합위 같은 기구를) 같이 발표하는 예는 없었다. 그만큼 당선자는 국민 대통합을 중시한다. 국민과의 약속이라서 꼭 지켜야 한다는 뜻을 강력히 표명한 조치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김 수석부위원장은 “전남과 광주 국민들이 우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박정희의 딸’에게 마음을 열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본다”며 “국민 통합은 광주에서 시작해야 하고, 그걸 열심히 하는 게 통합의 1차적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대선 기간 호남에 많은 공을 들였음에도 기대치를 밑도는 득표율이 나왔다는 뜻이다. 향후 대통합위 활동의 초점이 영호남 갈등 해소에 맞춰질 것임을 시사한다. 그는 “저와 한 위원장, 그리고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까지 구 민주당 세 사람과 김중태 부위원장, 시인 김지하씨가 박근혜 시대를 여는 오륜마차가 되겠다”고도 했다.

앞서 윤봉길 의사의 장손녀로 매헌기념사업회 이사를 역임한 윤주경 부위원장은 “지금의 번영된 대한민국은 자기희생을 마다하지 않은 국가유공자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당선인은) 그분들의 정신을 기억하고 되살리는 게 대통합을 이루는 길이라 생각하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또 김중태 부위원장의 경우 대선 과정에서 추진해 온 유신시대 피해자들과의 화해 및 관련 법안 제정 등에 앞장서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들이 선거 기간 보여줬던 막말과 편 가르기 발언 등을 언급하며 당선인 통합 행보의 진정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