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당선인 ‘100% 대한민국’ 첫 시험대… 노동계 끌어안기 대통합 시동

입력 2012-12-28 22:56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국민통합을 국정 핵심 지표로 제시했다. 지역·세대·이념·계층간 대립을 넘어 100% 대한민국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국민대통합위원회 인선은 ‘호남 배려’로 요약된다. 한광옥 위원장 등 호남 인사를 대거 등용했다. 이념적 반대편의 인사는 포함되지 않았다. ‘지역 통합’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 사회는 지역보다 계층 갈등이 더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8대 대통령 선거 이후 노동자들이 잇따라 목숨을 끊었고 이는 길게 보면 쌍용자동차 사태의 연장선에 있다. 노동계의 극단적 현상에는 대선 결과에 대한 실망감도 작용했다. 이념과 계층 간 대립이 어느 때보다 심했던 선거의 후유증이고, 과거처럼 지역 안배로 해결될 상황이 아니다.

상실감에 휩싸인 노동계를 끌어안고 고용 안정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을 도출할 수 있느냐가 박 당선인이 강조해온 국민통합의 첫 시험대로 떠올랐다. 세대·이념·계층을 아우르는 다면적 접근이 이뤄져야 한다.

새누리당 내에서도 박 당선인이 노동계를 보듬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한광옥 인수위 국민대통합위원장은 노동자들의 잇단 죽음과 관련해 “박 당선인도 마음 아프게 생각하고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종훈 의원도 “박 당선인 스타일상 특정 사업장을 언급하기 쉽지 않겠지만 이런 불행한 일이 없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말씀은 하실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당선인이 조만간 한국노총 등을 방문해 노동계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리란 관측도 나온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전 후보도 27일 한진중공업 노동자 최강서씨 빈소를 방문한 뒤 트위터에 글을 올려 “더 이상 안타까운 일이 이어져선 안 됩니다. 벼랑 끝에 몰린 노동자들에 대한 관심을 호소드립니다. 박근혜 당선인께도 각별한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부디 노동자들에게 희망을 주십시오”라고 했다.

박 당선인은 지난 8월 국민대통합 행보의 일환으로 전태일 재단을 방문하려다 쌍용차 해고노동자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대선 직전에는 쌍용차 해고자 농성 현장 방문을 검토하기도 했다. 하지만 노동계는 여전히 박 당선인의 실천 의지와 진정성을 믿지 못한다. 민주노총은 지난 23일 긴급성명에서 “(박 당선인이) 대통합을 말하려면 노동 현안 해결부터 나서야 한다. 앞으로 5년을 어떻게 더 견디겠느냐는 고인들의 절규를 깊이 새기고 가시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국회 환노위 새누리당 간사인 김성태 의원은 “박 당선인이 노동 이슈에 소극적이고 보수적일 것이라고 섣부른 판단을 하면 안 된다”며 “박 당선인과 비정규직 같은 노동 문제를 얘기해보면 여당 의원 중 가장 사회적 약자들을 걱정하는 입장에 서 있음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