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인수위 1차 인선] 지지안한 48%까지 포용… ‘민생정부’ 실현 전문성 강조

입력 2012-12-27 21:48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1차 인선안을 준비하면서 대선 기간 강조했던 ‘100% 대한민국’을 염두에 둔 듯하다. 자신을 지지하지 않았던 절반의 국민까지 포용하려는 의도를 볼 수 있다. 수차례 강조한 민생 중심 국정운영과 전문성을 고려하는 인사 원칙도 반영됐다.

박 당선인은 10.5%의 득표율만 안겨준 호남에서 인사들을 대거 발탁했다. 탕평 인사 차원이다. 산업화 세력과 민주화 세력의 ‘화해’를 추진할 국민대통합위원회에는 호남 출신 한광옥 위원장, 김경재 수석부위원장, 인요한 부위원장이 배치됐다. 진영 인수위 부위원장과 하지원 청년특별위원회 위원은 본적이 전북이다. 청년특위는 박 당선인의 지지기반이 약했던 ‘2030 세대’와 소통하고 등록금·실업문제 등 청년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된다. 유명 뮤지컬 감독, 게임회사 대표, 현직기자 등 이색 경력을 가진 위원들이 눈에 띈다.

인수위 김용준 위원장과 진 부위원장은 선대위 활동에 이어 다시 중용됐다. 박 당선인의 핵심 측근은 27일 “공약을 잘 알고 있는 두 사람에게 인수위를 맡겨 정권 인수인계 과정에서 빠뜨리는 부분이 없도록 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법조인 출신인 김 위원장은 소아마비를 딛고 헌법재판소장 자리까지 오른 ‘감동 스토리’의 주인공이다. 법치와 사회안전에 대한 수호 의지를 강조하면서 소외계층에 희망을 주고 어려운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제고하기 위해 상징성에 방점을 뒀다. 반면 진 부위원장은 실무형 인사다. 선대위 국민행복추진위원회에서 박 당선인의 공약 개발을 주도했고, 정책위의장으로 새누리당 정책을 총괄했다. 경제통 유일호 의원을 비서실장에 임명한 데 이어 인수위 운영 과정에서 정무보다는 정책을 중시하겠다는 박 당선인의 의중이 거듭 드러난 셈이다.

아울러 이번 인선에서는 ‘믿고 쓴 사람은 또 쓴다’는 박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이 다시 확인됐다. 이날 명단에 이름을 올린 14명 가운데 위원장 3명을 포함한 10명이 대선 때 박 당선인을 도왔다.

윤창중 수석대변인은 인선안을 발표하면서 “인수위는 전문성과 국정운영 능력 그리고 애국심과 청렴성을 기준으로 지역에 상관없이 인재를 모실 것”이라며 “규모는 작지만 생산적인 인수위를 구성하겠다. 항상 국민의 눈높이에서 소통하고 국민 삶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최우선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 인선에서도 국민통합·민생·전문성을 중요하게 따지겠다는 설명이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