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지도부 재산공개 단행할까… “상무위원 7명 인물탐구 보도는 정지작업” 분석

입력 2012-12-27 22:14

시진핑(習近平) 체제의 중국 새 지도부가 과연 재산 공개를 단행할까.

관영 신화통신이 최근 상무위원 7명의 가정생활 등 인물 탐구 기사를 잇달아 보도한 것은 이들의 재산 공개를 위한 정지작업이라는 관측이 27일 베이징 정가에서 나왔다. 공산당 간부 교육기관인 중앙당교 장시셴(張希賢) 교수는 “인민 대다수가 간부 당원의 가족과 재산의 공개를 바란다”며 상무위원들의 재산 공개를 촉구했다.

홍콩 성도일보(星島日報)는 이날 상무위원 7명이 당 중앙위원회에 이미 재산 신고를 했고 검증을 거쳐 공개시기를 검토하는 단계라고 보도했다.

성도일보는 상무위원 7명(본인과 배우자)의 재산 내역을 보도하면서 그들이 보유한 집 주소까지 곁들였다. 시진핑의 경우 푸저우(福州)와 베이징에 집을 두 채 갖고 있으며 예금액은 230만 위안(3억9600만원)인 것으로 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7월 시진핑 일가의 재산이 약 4000억원에 달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신문은 리커창 차기 총리를 비롯한 나머지 상무위원들은 집 한두 채에 예금 170만∼390만 위안을 보유한 것으로 전했다.

이에 대해 미주 지역 화교 매체 보쉰(博訊)은 상무위원들 중 장가오리(張高麗) 일가가 100억 위안대의 화교 재산을 불법적으로 빼앗으려고 시도한 탓에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재산 공개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중앙과 지방의 고위직은 물론 중하위직 관리까지 부패에 젖어 있어 재산 공개를 의무화하면 그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그러나 위창장(于長江) 베이징대 교수와 후싱더우(胡星斗) 베이징이공대 교수는 새 지도부의 재산 공개 가능성을 낙관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