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교통사고 사망자 39%가 보행자… 안전운전·보행 교육 강화해야
입력 2012-12-26 21:37
이명박 정부가 2008년 2월 출범 직후 국정 과제의 하나로 선정했던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으로 줄이기 계획’이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 정부는 당초 임기 내에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2007년(6166명)의 절반 수준인 3000여명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26일 한국교통연구원이 발간한 ‘차기정부를 위한 교통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5229명으로 목표치 3400명보다 1829명 많다. 목표 달성률은 약 34% 수준에 불과하다. 올해는 지난 9월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오히려 154명(3.1%) 증가했다. 올해 말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목표치(3000명)보다 2300여명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의 특징을 보면 65세 이상 고령 사망자가 전체의 33.0%(1742명)를 차지했다. 교통사고 사망자 3명 중 1명이 고령자인 셈이다. 음주운전사고로 인한 사망도 전체 사망 원인의 14%를 차지했다. 교통연구원 관계자는 “향후 소득수준 증가에 따라 음주운전 사망자가 비율이 30%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보행자 사망자 수의 비율은 전체의 39.1%에 달했다. 이는 미국(13.0%) 독일(13.0%) 영국(21.8%) 등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교통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새롭게 출발하는 정부에서 교통사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고령자에 대한 보행교육 및 안전운전교육 강화 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음주단속 기준도 혈중알코올농도 0.05%에서 0.03%로 하향 조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사업용 운전자, 초보운전자, 20세 이하의 젊은 운전자에게는 혈중알코올농도 0% 기준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보도, 횡단보도, 보행자 방호책, 조명시설 등 보행자 안전시설을 지속해서 확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교통연구원 설재훈 교통안전·도로본부장은 “다양한 교통 대책들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국가 최고지도자가 교통사고 감소의지를 가져야 한다”며 “차기 정부에서는 대통령 직속으로 국가 교통안전위원회를 설치하고, 관계부처 간의 정책 추진과 운영을 적절히 조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