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인수위 구상] 자천타천 “나요 나” 행추위 누가 낙점?
입력 2012-12-26 20:00
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출범을 앞두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대선 공약의 산실이었던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회(행추위)가 주목받고 있다. 박 당선인이 실무형 인수위를 구상하고 있어 행추위 산하 17개 추진단 관계자 상당수가 인수위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당선인의 핵심 측근은 2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인수위의 역할은 대선 공약 중 취임 초에 할 것과 다음 해에 할 것 등 우선순위를 정하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순위가 정해지면 재원을 어떻게 충당할지, 세금 문제는 어떻게 할지를 순차적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박 당선인의 국정 철학과 공약별 세부 내용을 꿰고 있는 행추위 정책·조세 전문가들이 인수위에 다수 포진할 가능성이 크다.
박 당선인 공약에 가장 정통한 인사는 김종인 전 위원장이다. 공약 개발 전반을 관리·감독했고 ‘플레잉 코치’처럼 일부 공약은 직접 만들었다. 초등학교가 맞벌이부부 자녀 등 희망하는 학생을 오후 5시까지 책임지고 돌보는 ‘온종일 돌봄’ 정책과 월 20만원 노인연금지급 공약이 그의 작품이다. 경제민주화추진단장을 겸임한 터여서 그의 발탁 여부에 따라 ‘박근혜 정부’의 재벌개혁의 실천 의지를 가늠해 볼 수 있을 정도로 존재감이 크다.
민생 정부를 내건 만큼 복지와 노동 공약도 핵심이다. 각기 최성재 편안한삶추진단장, 이종훈 행복한일자리추진단장이 책임자였다. 하지만 복지 정책의 ‘브레인’으론 오히려 안상훈 추진위원이 꼽힌다. 행추위 내부에선 “복지 정책의 기틀은 김 위원장과 더불어 안 위원이 다 만들었다”는 말이 있다. 대선 중 쟁점이 됐던 4대 중증질환(암, 심장, 뇌혈관, 희귀난치성질환) 진료비 전액 국가부담, 노인 일자리 5만개 창출 등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모델을 개발했다. 박 당선인의 외곽 원로그룹 7인회 멤버인 김기춘 전 의원의 사위로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다. 한편 이 단장은 대규모 정리해고 사업장을 고용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정책을 제안하며 그간 새누리당이 경시했던 비정규직 노동자 껴안기에 기여했다.
이외에도 조세 전문가가 다수 포진될 수 있다. 조세·재정 전문가이면서 보육 공약을 개발한 김현숙 행복한여성추진단장도 인수위 입성 가능성이 크다. 힘찬경제추진단 신세돈 위원도 거론된다. 또 군 복무기간 단축, 사실상의 군 가산점제 부활 등 박 당선인이 고비마다 활용한 정책을 개발한 김장수 국방·안보추진단장도 빼놓을 수 없는 발탁 후보다. 윤병세 외교·통일추진단장 역시 이 분야의 핵심 전문가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