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공항 활성화 좌초”… 불안감 확산
입력 2012-12-25 21:46
내년 2월 민영화 출범을 앞둔 청주국제공항에 어두운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청주공항 활주로 연장사업 타당성 조사가 지연된 데다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내건 공약 중 동남권 신공항 건설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주공항 활성화 사업이 자칫 좌초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25일 충북도에 따르면 청주공항 활주로 연장의 타당성 연구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KDI는 중간 용역보고회 시기를 내년 초로 미뤘다. 당초 지난 8월로 예상했다가 다시 연말에 발표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또 다시 연기된 것이다. 이는 도의 보완자료 제출로 인해 타당성 조사가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도는 KDI가 혹여 정치적 고려를 하는 게 아니냐는 걱정이 전혀 없지는 않다.
도는 2744m 활주로를 3200m로 연장하기 위해 국회와 기획재정부, KDI 등을 상대로 모든 행정력을 가동하고 있다. 활주로가 연장될 경우 현재 증가 중인 청주공항 화물 물동량이 더욱 커질 수 있고, 직항이 불가능한 뉴욕·유럽노선 취항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여기에 사업비용을 줄이기 위해 용지 매입비 110억원을 분담하겠다는 의사도 전했다.
지난 8월 KDI가 분석한 이 사업의 비용대비 편익비율(B/C)은 사업타당성 기준치인 0.8보다 훨씬 낮은 0.47로 파악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비 100만원을 투자하면 80만원 가량 이익이 발생해야 하지만 현재로선 50만∼60만원밖에 안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현 정부에서 백지화된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공약으로 재추진할 경우 청주공항 사업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당할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어서다.
내년 전국 첫 민영공항으로 새 출발을 하게 된 청주공항의 중장기 발전 첫 단추인 활주로 연장 문제가 어떻게 결론 날지 주목되는 이유다.
김우종 도 문화관광환경국장은 “KDI의 사업 타당성 발표가 또 지연돼 어려움이 많다”며 “동남권 신공항 사업 재추진이 가시화되면서 인천공항이나 청주공항 등 다른 공항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돼 대책마련에 고심 중이다”고 전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